서경스타 영화

[SE★이슈] ‘1987’ 강동원, 1년의 마음고생..‘눈물’로 보인 진정성

배우 강동원이 ‘눈물’로 ‘1987’ 열사들을 향한 진심을 전했다.

배우 강동원 /사진=서경스타 DB배우 강동원 /사진=서경스타 DB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영화 ‘1987’을 관람했다. 이후 무대인사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장준환 감독, 김윤석, 강동원이 함께 참석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영화관람 소감으로 “많이 우셨지요”라며 “슬픈 가운데 재미도 있고 감동적이었으며 메시지도 좋았다. 이 영화를 만드신 분들 그리고 이 영화 속 주인공이거나 관련 있는 분들과 함께 영화를 봤는데 보는 내내 울면서 뭉클한 마음이었다”고 전했다.

여기에 문 대통령은 “영화를 보면서 울림이 컸던 대사가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나요?’였다. 이 영화는 그에 대한 답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강동원은 뒤로 돌아 눈물을 훔쳐 닦아 눈길을 끌었다. 강동원은 “이 영화를 준비하면서 ‘내가 지금 이렇게 잘 살고 있는 게 많은 빚을 지고 있구나’라고 생각했다. 이런 빚을 조금이나마 갚을 수 있는 심정으로 참여했다. 아직도 마음이 많이 아프다. 앞으로도 좋은 영화를 찍으면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사진=청와대 SNS사진=청와대 SNS



‘1987’은 1987년 1월 스물두 살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 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시작해 이한열 열사가 투쟁한 6월 항쟁으로 이야기를 맺는다.

관련기사



극 중 강동원은 故 이한열 열사 역을 맡아 열연했다. 특별출연임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중심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87’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지만 강동원은 이번 영화 출연 이후 적잖은 논란을 겪었다. 강동원의 ‘눈물’은 영화 바깥의 모든 배경까지 함축한 ‘마음고생’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지난해 3월 강동원은 외증조부 친일 논란에 휩싸였고, 민주주의 소재를 다룬 ‘1987’에서 이한열 열사 역을 맡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의 시선이 따랐다.

이후 이한열 열사 유족 측은 기념사업회 홈페이지를 통해 “강동원의 외증조부, 이종만의 친일 논란과 관련해 영화 ‘1987’ 제작사 측에서 배우에 대한 의견을 물어와 논의 끝에 문제 없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밝히면서 당사자간의 의견은 조율된 것으로 마무리 됐다.

같은 해 4월 강동원은 이한열 열사의 묘소와 어머니 댁을 찾았고, 영화 촬영 이후에도 또 한 번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에게 직접 인사했다.

강동원의 진심 어린 표현에 이한열 기념사업회 측은 최근 “2016년 여름, JTBC의 태블릿PC 보도가 나오기 전 박근혜의 서슬이 시퍼렇던 때, 배우로서 불이익을 감수할 각오로 제일 먼저 달려와 배역을 수락해주었다. 강동원 배우 또한 작은 그러나 태산만큼 큰 용기를 내주신 것이다. 다시 한 번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그의 논란을 정리하는 입장을 밝혔다.

약 1년의 시간 동안 강동원이 하고 싶었던 말, 영화에 대한 소감이 결국 ‘눈물’로 모아 드러났다. 그의 진심에 대중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서경스타 한해선기자 sestar@sedaily.com

한해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