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로봇으로 돼지 식도폐쇄 치료..."사람에게도 성공할까?"

하버드대 등 국제연구진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

식도 재생 돕는 로봇 /사진=Science Robotics식도 재생 돕는 로봇 /사진=Science Robotics


국제 연구진이 식도가 중간에 끊기는 ‘식도폐쇄’ 환자의 조직을 재생하는 의료용 로봇을 개발해 성공적으로 돼지에 이식했다.

미국 하버드의대와 영국 셰필드대 등 국제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로봇의 길이는 약 10cm, 지름은 3cm 가량이며 무게는 99.4g이다. 방수피복으로 둘러싸인 로봇은 원통형 모양으로 식도를 감싸는 고리 2개와 이 고리를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모터로 구성돼 있다.


연구진은 이 로봇을 돼지 식도에 이식한 뒤 무선으로 조종해 식도 늘리기를 반복했다. 식도 조직에 물리적인 자극이 가해지며 돼지 식도를 구성하는 세포가 증식한 것이다. 로봇을 이식한 지 9일이 지나자 돼지 식도의 길이가 1.7배 정도로 길어졌다.

국제공동연구진은 이런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10일자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는 김천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가 공저자로 참여했다.


현재는 선천성 질환인 식도 폐쇄는 끊겨 있는 식도를 잡아당겨 연결하는 수술로 치료하는데 끊긴 길이가 길면 봉합 수술을 바로 시행할 수 없다. 끊어진 부분에 실을 걸어 이 실을 몸 밖으로 빼내 몇주에 걸쳐 조금씩 당겨 식도를 자라게 한 뒤에야 수술할 수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연구진은 식도 양 끝을 부드럽게 잡아당기는 작은 로봇을 몸속에 넣어 식도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김천우 박사는 “의료용 로봇이 몸속에 이식돼 식도 성장 등 인체 기능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식도에 로봇을 이식받은 돼지. /사진=Science Robotics식도에 로봇을 이식받은 돼지. /사진=Science Robotics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