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백준 등 압수수색...MB도 특활비 수사

원세훈 前 국정원장 시절

檢, 특활비 전달 단서 포착

김백준김백준


검찰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집사로 불리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등 이명박 정부 당시 청와대 총무·민정라인 고위인사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다.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상납 의혹 수사를 이명박 정부로 확대하면서 검찰이 이 전 대통령을 전방위로 압박하는 모양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송경호 부장검사)는 12일 김 전 기획관 등 3명의 자택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과 검찰 출신 김진모 전 민정2비서관이 포함됐다. 김 전 기획관은 이 전 대통령의 ‘집사’로 불리는 인물이며 김 전 실장도 이 전 대통령의 측근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

검찰은 이날 김 전 실장과 김 전 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김 전 기획관은 검찰이 소환을 통보했지만 불응했다.


검찰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 시절 국정원이 김 전 기획관 등에게 특수활동비를 불법적으로 전달한 단서를 포착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검찰이 이 전 대통령 최측근에 대한 수사에 본격 착수하면서 법조계 안팎에서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옥죄기’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서울중앙지검에서는 첨단범죄수사1부(신봉수 부장검사)가 ‘BBK 주가조작 사건’ 고발사건을,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사건 수사팀(팀장 문찬석 서울동부지검 차장검사)이 ‘다스 120억원 비자금 조성 의혹’ 사건을 각각 수사하고 있다. 이어 이번에 특수2부도 이 전 대통령 측근을 겨냥한 수사에 착수한 것이다.

검찰이 이른바 ‘3트랙’ 수사에 돌입하면서 이 전 대통령을 정조준하는 형국이다. 게다가 원 전 원장과 이 전 대통령의 관계를 고려할 때 검찰의 최종 수사 목표가 이 전 대통령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검찰에 정 통한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앞으로 검찰이 이 전 대통령을 겨냥한 수사인력을 대폭 확충하고 수사를 한층 확대할 수 있다는 말마저 돌고 있다”며 “이는 그만큼 검찰이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에 전력투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국정원의 민간인 댓글부대(사이버외곽팀) 불법 정치활동을 지원한 혐의로 기소된 원 전 원장의 재산을 동결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4부는 원 전 원장에 대한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의 ‘추징보전 청구’를 받아들였다. 앞서 검찰은 원 전 원장이 국고손실 혐의 재판에서 유죄를 받을 가능성에 대비해 지난 4일 65억원에 대한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