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지역 중소·중견기업 46개사, 스마트공장 도입 성공적으로 마쳐

ICT융합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사업

부산 중소·중견기업 46개사에 총 23억원 지원

기획·설계부터 제품 생산 전 과정에 공장 자동화 체계 도입

부산지역 중소·중견기업 46개사가 스마트공장을 도입했다.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와 부산시는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과 함께 부산지역 중소·중견 기업 46개사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6일 밝혔다. 부산혁신센터는 지난해 제조업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역 중소·중견기업 46개사를 선정해 업체별 맞춤형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해왔다.

‘스마트공장’이란 기획·설계부터 제품 생산 전 과정을 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해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재고 관리 시스템(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을 꼽을 수 있다. 기존에 수작업으로 했던 입출고 처리를 바코드 라벨과 PDA를 이용해 실시간 재고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재고 위치 파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해 업무 효율성을 높인다.


부산혁신센터는 지난해 46개 기업에 첨단기술이 적용된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구축하고, 그와 연동된 자동화 장비를 구축하는 데 총 23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했다. 특히 스마트공장의 원활한 도입을 위해 전문 멘토와 코디네이터를 지원해 수시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멘토링 했다. 대표적 참여기업으로는 산업용 에어드라이어를 생산하는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가 꼽힌다. 이 업체는 스마트공장 구축 4단계 중 최상위 단계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정된 업체다.

관련기사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는 ‘글러벌 거점 스마트공장 구축’을 목표로 재고 관리부터 대리점 관리, 품질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했다.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 관계자는 “공장 자동화 체계를 도입한 스마트공장 시스템 도입으로 업무의 효율성이 대폭 증대됐다”며 “이후에도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본격 가동한다면 연간 생산량이 현재 2만5,000대 수준에서 1단계 10만대, 2단계 20만대까지 대폭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부산혁신센터 관계자는 “부산 지역의 제조 중소·중견기업에 활력을 불어넣어주기 위해 스마트공장의 도입을 지원해왔다”며 “앞으로 사후 점검 등으로 참여기업들이 도입된 스마트공장을 활용해 실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