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백제 부흥운동 최후 거점성 우금산성 동문터 발견

통일신라시대 이전 축조한 것으로 추정

전북 부안 우금산성의 동문터/사진제공=문화재청전북 부안 우금산성의 동문터/사진제공=문화재청


백제 패망 후 부흥운동이 일어났던 최후의 거점성으로 알려진 전북 부안 우금산성(전라북도기념물 제20호)에서 통일신라시대 이전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는 동문지(동문 터)가 확인됐다.

전북문화재연구원은 16일 지난해 11월부터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일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변산 정상과 이어지는 경사면에서 동문지와 성에 오르는 계단 및 성벽 구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우금산성에서 문지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동문지는 변산 정상과 이어지는 경사면에 있으며 흙을 다진 뒤 동을 쌓아 만든 개방문(통로부가 트인 형식)으로 판단된다. 북쪽 문지 양쪽 벽의 상태로 파악했을 때, 두 차례 이상 고쳐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1차 문지는 길이 3.5m, 너비 3.9m이며 수개축한 2차 문지는 길이 7.1m, 너비 3.3m다. 2차 문지 통로부 입구에는 문을 고정하는 문확석 1매가 확인됐는데 돌의 윗면에는 지름 24㎝, 깊이 8㎝의 원형홈이 있다.

관련기사



2차 문지 양쪽 벽에서는 너비 32~50㎝, 깊이 47~70㎝의 나무기둥을 꽂는 구멍 6개가 확인됐다. 구멍은 양쪽에 3개씩 있으며, 간격은 1.8m로 일정했다. 더 이른 시기에 축조된 성은 땅을 파서 기둥 구멍을 마련하는 것과 비교하면 우금산성의 양식은 더 발전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등성시설(계단)은 동문지의 내부 북쪽에서 확인됐다. 확인된 길이는 4.2m, 너비 6.4m로 길게 깬 돌을 이용해 계단 형태로 쌓았다. 오승환 전북문화재연구원 책임조사원은 “동문의 조성 시기는 늦으면 통일신라시대, 이르면 삼국시대로 보인다”며 “이번 발굴을 통해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에 있어 조사가 어려웠던 우금산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동문터 측벽 축조 모습/사진제공=문화재청동문터 측벽 축조 모습/사진제공=문화재청


우금산성의 성벽 중 나무기둥을 꽂는 목주홈의 모습/사진제공=문화재청우금산성의 성벽 중 나무기둥을 꽂는 목주홈의 모습/사진제공=문화재청


우금산성의 문을 고정하는 문확석/사진제공=문화재청우금산성의 문을 고정하는 문확석/사진제공=문화재청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