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평창에 '서열 7위' 파견…4강 정상 참석 '불투명'

美, 펜스 부통령 방한 예정

러, 도핑 파문·3월 대선 앞둬 가능성 낮아

日, 위안부 합의 파문 속 방한 여부 불확실

지난해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각국 정상들. /연합뉴스지난해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각국 정상들. /연합뉴스


평창 동계올림픽에 중국이 파견할 고위급 대표단을 이끄는 인물이 한정(韓正)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알려져 한반도 주변 4강 정상의 평창행이 모두 불투명한 상황이다.

16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한정 상무위원을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한국에 파견하겠다고 외교 경로를 통해 우리 측에 알려왔다.


한정 상무위원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을 정점으로 한 7인의 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회 구성원 중 하나다. 이에 따라 시 주석의 평창올림픽 방한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중국은 이달 말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2차 전체회의, 다음달 전국인민대표자대회 등 주요 정치일정을 앞두고 있어 시 주석의 방한 가능성은 낮게 평가되고 있다.


미국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평창올림픽 참석차 방한할 예정이라고 공표한 바 있다.

관련기사



러시아의 경우 자국 선수들의 ‘도핑 파문’으로 국가대표 자격으로는 경기에 참가할 수 없는 데다 오는 3월에 대선을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참석 가능성도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정상 참석 가능성도 불투명하다.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우리 정부 태스크포스(TF)의 검토보고서 발표와 정부의 ‘위안부 문제 미해결’ 입장 발표로 인해 생겨난 외교 갈등의 여파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최근 올림픽 참석에 관해 “국회 일정을 보면서 검토하고 싶다”고 말했고,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도 “결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라 공식적으로는 가능성이 열려 있다.

하지만 북한의 참가와 함께 ‘평화’라는 평창올림픽의 상징성이 강화되면 국제적인 관심도가 높아져 주변국 정상의 참석 동기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오늘 정상급 인사의 올림픽 참석 여부에 대해 “현재 기준 방한이 확인된 해외 정상급 인사는 15명 규모”라고 밝혔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