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靑 중재에도 대학들 '청소노동자 알바 대체' 고수

대학 "재정 빠듯해 충원 못해"

대학들이 정년퇴직한 청소·경비 노동자의 빈자리를 단기 근로자로 대체하며 노조와 충돌하자 청와대가 중재에 나섰지만 갈등은 풀리지 않고 있다.

16일 연세대·고려대·동국대 등 서울 시내 주요 대학들은 “현재로서는 노조와 협상할 의사가 없다”고 입을 모았다. 전날 반장식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연세대를 방문해 “대학이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이 문제에 접근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지만 여전히 대학과 노조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것이다.


이들 대학은 새해 들어 정년퇴직한 노동자들의 빈자리를 파트타임 근로자로 채우거나 충원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지난해 청소·경비 노동자들의 시급을 7,780원으로 인상한 여파를 수습하기 위해서다. 청소노동자들은 “기존 노동자의 업무부담이 심한데다 질 낮은 일자리만 양산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대학은 “추가 재정 지원 없이는 인력 충원이 불가능하다”고 맞받았다.

관련기사



이 같은 입장 차는 청와대의 중재에도 바뀌지 않고 있다. 연세대 관계자는 “지난해 민주노총이 요구한 70세 정년 보장과 용역업체 변경 시 인원 승계, 구조조정 금지 등은 모두 받아들였다”며 “다만 정년퇴직자가 나간 자리에 신규 인력을 뽑으면 비용부담이 있어 경영 효율화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1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방문한 고려대도 “현재까지는 충원 계획이 없다”며 “노조와 타협점을 찾아 보겠다”고 전했다. 동국대도 “재정적 문제로 (청소·경비 노동자) 충원은 없다”고 일축했다.

이들 노조가 소속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경인지부는 “대학 측 변화가 있을 때까지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서경지부 관계자는 “빈자리를 파트타임 근로자로 메우거나 충원하지 않으면 기존 노동자들의 업무부담이 매우 크다”며 “정부는 국고보조금을 받는 대학이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대학 평가에 비정규직 비율, 노동조건 점검 등도 넣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