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심장 안팎서 부정맥 유발부위 제거…2년 뒤에도 정상박동 93%

[헬로 굿센터] 삼성서울병원 ‘하이브리드 부정맥팀’

흉강경 수술·내과 시술 접목해 성공률↑

세계 세번째 300례 돌파…뇌졸중 예방도

정동섭 삼성서울병원 교수가 흉강경 부정맥 수술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정동섭 삼성서울병원 교수가 흉강경 부정맥 수술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




‘심장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 치료 1년 뒤 평균 정상박동 유지율 93.7%, 2년 뒤 92.6%.’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온영근·박경민, 심장외과 정동섭 교수팀이 지난해 12월 흉부외과 국제학술지 초청논설(Editorial)에 발표한 ‘하이브리드 부정맥 치료’ 환자의 추적관찰 결과다. 부정맥 치료에 가장 널리 쓰이는 내과적 시술(전극도자절제술)의 성공률이 만성 심방세동 기준으로 70% 수준임을 감안하면 획기적이다. 심방세동은 부정맥의 일종으로 심방이 분당 30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형성해 불규칙한 맥박을 일으킨다.

난치성인 만성 심방세동 환자들의 하이브리드 부정맥 치료 후 2년 정상박동 유지율도 87%로 내과적 시술만 했을 때의 55~60%보다 훨씬 높다.

삼성서울병원 하이브리드 부정맥팀은 지난 2012년 2월 처음 치료에 성공한 지 5년여 만인 지난해 9월 세계 세 번째로 300례를 돌파했다. 국제학술지 초청논설 발표와 300례 달성은 하이브리드 치료의 안정성과 효과를 국내외에서 인정받았다는 증거다.


흉강경 부정맥 수술과 내과 시술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치료법은 심장 바깥쪽과 안쪽 모두에서 부정맥을 유발하는 부위를 제거해 치료하는 게 핵심이다.

관련기사



먼저 흉곽에 0.5㎝ 구멍을 내고 흉강경을 통해 심장을 직접 보면서 양극성 고주파로 부정맥을 일으키는 부분을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외과적 수술을 한다. 심장이 뛰고 있는 상태에서 흉강경 부정맥 수술을 하는 만큼 난이도가 높지만 수술에 걸리는 시간은 평균 90분 정도로 짧다. 입원 기간도 4일로 개흉수술에 비해 짧아 환자의 부담도 적다.

수술 중 뇌졸중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좌심방이를 차단하거나 절제해 뇌졸중 발병 위험을 정상인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좌심방이는 좌심방 아래쪽에 귀(한자로 이·耳)처럼 튀어나온 부분으로 부정맥 환자에게서 혈전이 생길 위험이 높다.

이어 수술 3개월이 지나 심장 안쪽에서도 비정상 전기신호가 발견되면 내과적 시술을 한다. 물론 내과적 시술 후 만성 심방세동이 재발해 흉강경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흉강경 부정맥 수술 3개월 후 내과적 시술인 전극도자절제술이 필요했던 환자는 30% 수준이었다. 나머지 환자들은 외과적 치료만으로 1년 이상 정상박동이 유지됐다.

전극도자절제술은 혈관 속으로 가는 도관(카테터)을 넣어 부정맥의 원인이 되는 심장 부위에 위치시킨 뒤 전기충격이나 고주파를 방출해 조직을 절단하거나 파괴함으로써 부정맥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내과적 시술이 추가로 필요했던 환자 대부분은 부정맥을 앓은 기간이 길거나 부정맥이 심해 좌심방의 크기가 매우 커진 사람들이다. 하이브리드팀은 이런 환자들에 대해 이달 말 흉강경 부정맥 수술과 내과적 고주파 시술을 동시에 시행해볼 계획이다. 정동섭 교수는 “지난해 하이브리드 치료가 가능한 시설도 마련했다”며 “하이브리드 치료법이 만성 심방세동 환자의 치료로 정착 단계에 들어선 만큼 동시 하이브리드 시행으로 전체 치료 기간을 줄이는 데 집중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