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장판에 눌리고 불에 타고 … 작년 손상화폐 3.8조

장판 밑에 뒀다가 눌리거나 불에 타는 등의 손상으로 폐기된 화폐 규모가 지난해 약 3조8,000억원에 달했다. 이를 새 화폐로 대체하는 데는 617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17년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에 따르면 지난해 이렇게 손상돼 폐기된 화폐 규모는 3조7,693억원이다. 1년 전(3조1,142억원)보다 21%(6,551억원) 늘었다. 폐기액 기준 역대 최대치다. 장수 기준으로는 6억장이다.


지난해 폐기된 손상화폐 중 5억6,000만장(3조7,668억원)이 지폐였다. 이는 5톤 트럭 99대 분량으로 지폐를 모두 쌓으면 높이가 백두산의 21배, 63빌딩의 227배에 달한다. 동전은 7,000만개(25억원)가 폐기됐다.

관련기사



국민들이 손상화폐를 한은에서 새 돈으로 바꿔간 규모는 46억1,000만원어치였다. 1년 전(36억3,000만원)보다 27%(9억8,000만원) 늘었다. 화폐 손상 사유로는 현금을 장판 밑이나 싱크대, 마당 항아리 등에 보관했다가 눌리거나 습기가 차 손상된 경우가 11억6,000원어치(54.7%)로 가장 많았다.

한은은 “부적절한 보관방법에 의한 손상은행권 교환액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일부 국민의 화폐 사용 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