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거 서울시내 달렸던 노면전차 381호 내·외부 복원

서울역사박물관 앞에 전시된 노면전차 381호의 복원된 내외부 모습. /사진제공=서울역사박물관서울역사박물관 앞에 전시된 노면전차 381호의 복원된 내외부 모습. /사진제공=서울역사박물관


서울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 앞에 전시된 노면전차의 내·외부가 복원됐다.

서울역사박물관은 과거 서울시내를 달렸던 노면전차 중 하나인 ‘전차 381호’의 마지막 운행됐던 당시 형태로 복원했다고 19일 밝혔다.


1960년대까지 도로 표면의 궤도를 달리는 노면전차가 서울 도심을 달렸다. 노면전차는 우리나라에 첫 도입된 1899년부터 69년간 서울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용됐다. 하지만 버스와 자동차 등이 대체 교통수단으로 등장하고 차량이 노후화되면서 1968년 11월 28일 자정을 마지막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이번에 내·외부가 복원된 전차 381호는 길이 13.7m, 너비 2.4m, 높이 3.2m, 무게 18톤으로 1968년 당시 운행됐던 176대 전차 가운데 남아있는 2대 중 하나다. 이 전차는 2010년 8월 24일 근대문화유산 중 보존 및 활용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청등록문화재 제467호로 지정됐다.


전차 381호는 1968년 전차운행이 전면 중단된 이후 1973년부터 능동 서울어린이대공원에 전시되다 2007년 서울역사박물관으로 옮겨왔다. 나머지 1대 전차 363호는 서울어린이과학관에서 보존 중이다.

관련기사



전차 381호는 2009년 한 차례 보존 처리를 했지만 실내 철물과 내장재 등 일부는 미처 손을 대지 못했다. 이에 서울역사박물관은 지난해 보존처리 사업을 거쳐 도면과 사진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차가 1966∼1968년 사이에 개조됐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실내 합판의 종류, 출입문 걸쇠·운전석 차단봉 등 철물 제작에 사용된 접합 방식 등을 새롭게 밝혀졌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차체 외부 도장을 복원하고 출입문 걸쇠와 내부 손잡이 등도 1960년대 사진 자료와 도면을 근거로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서울역사박물관은 “노면전차 381호는 제작사, 모델, 탑승 인원 등 각종 제원이 명확하고 운행 시기가 확인돼 20세기 중반 서울의 교통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