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예의를 지킵시다]스키 초보가 활강 욕심에 '충돌·부상 민폐'…슬로프 중간서 '셀카'까지

②공공장소 에티켓은 기본

넘어진 사람 일으켜 주지도 않아

아무데서나 흡연, 꽁초는 눈속에

대중교통은 새치기 등 비일비재

찜질방선 사람 밟아도 모르쇠

2215A02 예의_c




.중급자 코스인데….중급자 코스인데…


썰매타고…썰매타고…


앞 사람과 부딪치고…앞 사람과 부딪치고…


“어우…어우…어떻게 해!”

중급자용 스키슬로프 중턱에서 다급한 외침이 들린다. 한눈에 봐도 초보로 보이는 중년 여성이 빠른 속도로 직활강하고 있다. 주변의 스키어와 스노보더들은 황급히 피하기에 여념이 없다. 슬로프를 질주하던 여성은 결국 앞서 가던 한 스키어를 들이박고서야 멈춰 섰다. 자신의 실력에 맞지 않는 코스에서 욕심을 부렸다가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치고 만 것이다.


지난 14일 서울경제신문 취재진이 찾은 강원도의 한 스키장. 성수기인데다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둔 주말 스키장은 그야말로 인산인해였다. 즐거운 풍경에 취한 것도 잠시. 곳곳에서 위험천만한 일들과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행위들이 속속 목격됐다.

다른 사람과 충돌했을 때 넘어진 사람을 일으켜 세워주는 기본 예의조차 지키지 않는 경우가 허다했다. 이날 초급자 코스에서 스키를 타고 내려오던 홍민서(7)양은 뒤에서 직활강하며 내려오던 한 중년 남성과 부딪혀 넘어졌다. 스키 폴대가 10m 넘게 날아갈 정도로 강한 충돌이었지만 중년 남성은 “괜찮니”라는 말 한마디만 건네고 이내 사라졌다. 크게 부딪혀 중상을 입는 환자도 발생했다. 직장인 김정운(43)씨는 뒤에서 직활강으로 내려오던 한 초보 스키어와 부딪쳐 갈비뼈에 금이 가 의료센터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다. 김씨는 “보드대회에 출전할 정도로 실력은 괜찮은 편이지만 방향전환조차 못하는 초보가 뒤에서 들이닥치면 피할 길이 없다”고 성토했다. 슬로프 한복판을 차지한 채 연신 사진을 찍는 행위도 자주 보였다. 한 단체 이용객들은 스키장 정상의 슬로프 시작점부터 주르륵 늘어선 채 한동안 ‘셀카’를 찍어 많은 스키어들이 급하게 멈춘 후 한참을 돌아 내려가야 했다. 스노보드를 썰매처럼 타고 내려가는 사람도 보였다. 보드는 실수로 떠내려가기라도 하면 슬로프 중간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는 흉기와 다름없을 정도로 위험하다. 스노보드 위에 앉아서 슬로프를 내려오던 한 이용객은 스키장 안전관리자가 눈에 띄자 황급히 다시 스노보드를 신었다. 이외에도 흡연구역이 아닌 곳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꽁초를 눈 속에 넣는 사람들도 속속 목격됐다.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하는 대중교통·식당·목욕탕·공원 등 공공장소에서 예의를 지키지 않아 주변을 불쾌하게 만드는 경우는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관련기사



이런 일이 가장 자주 발생하는 곳은 지하철이나 버스 같은 대중교통이다. 자신만 편하게 가려고 새치기를 하거나 앞선 사람을 밀치는 경우가 많다. 출입구 앞에 서 있을 경우 내리고 타는 사람을 배려해 비켜주거나 잠시 내렸다가 다시 타면 되는데 굳이 버티고 서 있어 승객들을 불편하게 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최신영(27)씨는 “지하철 플랫폼에서 스크린도어 바로 앞에 가방을 놓아두고 승강장 뒤편 의자에 앉아 있다가 열차가 들어오면 마치 줄을 서 있던 것처럼 슬쩍 끼어드는 사람들을 종종 봤다”며 “다 같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데 ‘나만 편하면 그만’이라는 태도는 참 이기적”이라고 지적했다.

직장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구내식당에서도 ‘나 하나쯤이야’ 하는 마음에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하루에 300~400명이 이용하는 대형 구내식당들은 위생과 식당 종업원의 편의를 위해 “남은 반찬을 한 그릇에 모아 퇴식구에 넣어달라”고 부탁하지만 아예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경제신문 취재진이 16일 서울 시내 구내식당 세 곳을 둘러본 결과 이용객들 중 잔반을 국그릇에 모아 퇴식구에 넣는 사람들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었다. 강남구의 한 구내식당에서 조리원으로 일하는 한경자(57)씨는 “손님들이 잔반을 한곳에 모아주면 시간과 노력이 절약되지만 ‘모아서 버려달라’는 말 자체를 싫어하는 경우가 많다”며 “손님들이 조금만 도와주면 설거지를 하는 조리원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신경을 써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겨울철 추위를 피해 가족단위로 즐겨 찾는 찜질방에서도 ‘민폐족’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아이들이 뛰어다니다 부딪혀 다치거나 누워 있는 사람을 밟는 일들이 종종 일어난다. 하지만 아이가 조심하도록 주의를 주는 부모들은 많지 않다. 또 보기 민망할 정도로 애정 행각을 벌이는 커플들도 종종 있고 찜질방 내 식당에서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휴게실로 가져가 음식 냄새가 진동하기도 한다. 서울 송파구 가락동의 불한증막 사우나에서 근무하는 유현숙(53)씨는 “여러 번 부탁해도 목욕탕에서 염색을 하는 손님들이 도무지 줄지 않는다”며 “염색약의 독한 냄새가 주변으로 퍼지고 공용수건에 염색약이 묻어 피해를 보는 손님들이 많다”고 하소연했다. 유씨는 이어 “찜질방에서는 땀을 흘리기 때문에 속옷을 입는 게 기본 매너인데 속옷을 입지 않은 채 찜질복만 입는 사람도 종종 있다”고 귀띔했다.

/홍천=박진용·이재명·양지윤·허세민기자 yongs@sedaily.com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