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해 일반기업 21% "블라인드 채용 도입"

사람인, 222개 기업 상대 블라인드 채용 설문조사

47.7% "향후 블라인드 채용 도입 의향 있다"

향후 블라인드 채용 도입여부를 묻는 문항에서는 전체 응답 기업 47.7%가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다. / 사람인향후 블라인드 채용 도입여부를 묻는 문항에서는 전체 응답 기업 47.7%가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다. / 사람인


올해 우리나라 일반 기업 5곳 중 1곳은 현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도입된 학력·신체 조건 등을 묻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을 계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블라인드 채용에 관해 222개 기업을 설문조사한 결과 20.7%가 ‘올해 채용에 블라인드 방식을 적용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했다는 기업은 9.5%에 그친 점에 비춰보면 올해 들어 이를 도입한 기업은 11.2%포인트 증가한 셈이다.


블라인드 채용 때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항목으로 기업들은 ‘업무 해결능력’(47.8%, 복수응답)을 꼽았다. 이어 ‘직무 적합성’(45.7%), ‘긍정적 마인드’(37.0%), ‘끈기와 열정’(37.0%), ‘도전정신’(26.1%), ‘조직 융합성’(23.9%), ‘창의적인 사고’(17.4%), ‘위기관리 능력’(13.0%), ‘회사에 대한 충성심’(10.9%) 등이 차례로 언급됐다.

관련기사



블라인드 채용을 선택한 이유로는 ‘스펙보다 역량과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67.4%,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스펙보다 인성을 평가하기 위해’(37.0%), ‘기존 직원들의 스펙과 업무능력이 비례하지 않아서’(19.6%), ‘스펙에 의한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17.4%),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강화 분위기에 따라’(6.5%)라는 대답도 나왔다.

한편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하지 않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블라인드 채용 평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47.2%, 복수응답), ‘선발자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43.8%) 등을 꼽았다. 이어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할 채용전문가가 없어서’(26.1%), ‘정량적 스펙으로 평가해야 하는 역량이 있어서’(11.9%), ‘경영진이 원치 않아서’(11.9%) 순이었다.

블라인드 채용을 향후 도입할 지 여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 기업 중 절반가량(47.7%)이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으며, 스펙과 역량의 비례관계에 대해서는 72.1%가 ‘비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