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셧다운 이틀째, 여야 협상 실패…장기화 가능성도

트럼프 '핵 옵션' 도입 거론하며 민주당 압박…백악관 "1주일 넘게 지속할 듯"

공화 "다카는 시급하지 않아" vs 민주 "트럼프·공화 모두 수수방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첫날인 지난 20일(현지시간) 미치 매코널(켄터키) 상원 원내대표(왼쪽 3번째)가 워싱턴 국회의사당을 걷고 있다.미국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첫날인 지난 20일(현지시간) 미치 매코널(켄터키) 상원 원내대표(왼쪽 3번째)가 워싱턴 국회의사당을 걷고 있다.


미국 의회의 임시 예산안 처리 실패로 빚어진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이 21일(현지시간) 이틀째를 맞았으나, 여야는 서로 책임 전가만 하며 아무런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해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휴일인 이날 공화당을 향해 이른바 ‘핵 옵션’ 도입이라는 비상조치를 할 것을 촉구하며 민주당을 강하게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 계정에서 “교착상태가 계속된다면 공화당은 51%(핵 옵션)로 가서, 임시 예산안이 아니라 진짜인 장기예산안을 표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예산안 처리에 필요한 상원(100석)의 의결정족수 규정을 ‘60석’이 아니라 ‘단순 과반’으로 변경하고, 이참에 30일짜리 임시 예산안이 아니라 1년짜리 정기 예산안을 통과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대로 핵 옵션을 써서 상원의 예산안 처리 규정을 단순 과반으로 바꾼다면 이론적으로 과반 의석(51석)을 차지한 공화당은 자력으로 예산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민주당뿐 아니라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4~5명도 이번 예산안 처리에 반대하고 있어, 핵 옵션 도입 안건 자체가 표결에서 부결될 수도 있다. 공화당의 미치 매코널(켄터키) 상원 원내대표는 즉각 대변인을 통해 “‘공화당 콘퍼런스(RCUSS)’는 입법 규정을 바꾸는 데 반대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거절했다.

관련기사



공화당과 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협상 테이블에 마주앉는 데 실패했다. 이에 따라 2010년 10월 이후 4년 3개월 만에 발생한 셧다운 사태는 주말을 넘겨 주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고, 연방정부 행정 마비에 따른 각종 불편이 실질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이다.

민주당의 척 슈머(뉴욕) 상원 원내대표는 “의회 지도자들은 나에게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하라고 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의회 지도부와 이 문제를 해결해 보라고 한다”면서 공화당과 트럼프 대통령의 해결 노력이 미흡하다고 싸잡아 비난했다. 다만 예산안 처리에 대해 비정파적인 양당의 중립 성향 상원의원들이 의회에서 회동하고 절충점 찾기를 시도하고 있어, 셧다운 해결의 실마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