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서울경제TV] 車 수리 때 대체부품 쓰면 보험료 돌려준다

[앵커]

다음 달부터 자동차 사고로 자신의 차량을 수리할 때 완성차 업체 로고가 붙은 순정부품 대신 중소부품사가 독자 유통하는 대체부품을 쓰면 부품값의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받습니다.


순정부품 위주의 고비용 수리 관행을 깨기 위해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나선 것인데요.

소비자들의 대체 부품 사용 유인이 늘어난 만큼 그간 완성차 업계의 저항에 부딪혀 헛돌기만 했던 대체부품 활성화가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앞으로 자동차 수리 때 순정부품 대신 품질인증 대체부품을 선택한 자동차 보험 가입자에게는 부품가격의 25%가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금융감독원과 손해보험업계는 이 같은 품질인증 대체부품 특약을 개발해 다음 달부터 자동차보험에 적용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특약은 새로 차 보험에 들 때 자기차량손해 담보에 가입하면 자동 가입되고, 이미 차보험에 가입한 사람도 보험사에 요청하면 특약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두 가지 경우 모두 추가 보험료는 발생하지 않고, 차량 수리 때 대체부품을 선택하기만 하면 순정부품 가격의 25%를 보험사가 소비자에게 지급합니다.

관련기사



기준이 되는 25%는 대체부품과 순정부품의 일반적인 가격차이를 반영했습니다.

예를 들어 범퍼 교체 시 순정부품이 100만원이면 대체부품은 75만원인데, 대체부품 사용으로 절약되는 보험금 25만원을 보험 가입자에게 직접 돌려주는 겁니다.

이를 통해 금감원은 보험료 인상요인이 줄어들고, 현대모비스 등 대형사가 독점하다시피 한 국내 부품시장에 경쟁이 촉진돼 부품가격도 낮아질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사고를 낸 운전자에게만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은 논란 거리입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대체부품 성능을 체험해보지도 않은 채 비싸도 순정부품이라는 국내 소비자들의 오랜 인식을 깨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시장의 경우 자동차 보험 수리에 사용되는 부품 중 약 20%는 대체부품이 사용되지만, 국내는 소비자 신뢰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장 자체가 형성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체 부품 활성화를 기다려 보험료에 반영하기보다 대체 부품 시장 확대에 우선 초점을 맞추는 것이 국내 사정에 더 적합하다는 판단입니다.

[영상편집 김지현]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