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美-사우디 깊어지는 밀월에... 韓 원전수주 기대 물거품되나

사우디 원전 수주 위해선 美-사우디 협정 필요하지만

트럼프정부 수주전까지 가세...'한국 독주체제' 깨질 가능성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와의 밀월 관계를 깊이 형성하면서 사우디 원전 수주는 한국의 ‘독주체제’가 될 것이라는 국내 원전 업계의 장밋빛 전망이 조금씩 흔들리고 있다. 칼둔 칼리파 알 무바라크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행정청장이 방한을 통해 사우디 원전 수주 ‘지원사격’을 약속하면서 원전 수출에 한 발짝 더 다가갔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미국이 ‘우라늄 농축’ 허용 등을 골자로 한 사우디와의 원자력 협정 조건을 제시하며 수주전에 뛰어든 탓이다.



22일 사우디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사우디에 우라늄 농축 허용을 대가로 웨스팅하우스 등 미국 원자력 업체의 수주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밸류 체인(Value chain)’이 붕괴된 미국 원자력 업계를 재건하겠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 사항이기도 하다. 미국 원전업계의 대표 기업인 웨스팅하우스는 경영난으로 지난 2006년 일본 도시바에 인수된 후 올해 1월 다시 캐나다의 사모펀드에 팔리고 부활을 노리고 있다. 정부 관계자도 “미국이 사우디에 이 같은 제안을 한 것으로 알고 있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우디의 우라늄 농축은 하심 빈 압둘라 야마니 사우디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KACARE) 원장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회의에 참석해 “자체적인 농축 우라늄 생산을 통해 핵연료의 ‘자급자족’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듯 국가적 관심 사항이다. 미국이 핵무기 사용이 가능한 고농축 우라늄 생산까지 허용할 가능성은 적지만 일정 부분 우라늄 농축 비율을 높여주는 것만으로도 이란과 중동 패권을 놓고 경쟁을 벌이는 사우디로서는 매력적인 제안이다.


일각에서는 “사우디가 최근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조기 도입을 결정했다”며 “사우디가 원전 수주 과정에서 미국 손을 들어주고 사드와 같은 미국산 전략 무기 거래에서 ‘인센티브’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관측하고 있다. 서정민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중동학과 교수는 “현재 사우디는 왕실 권력 이양기에 있다”며 “권력 이양기에는 체제 안전을 꾀한다. 미국과의 원자력·군사 협정 등을 통해 통치 기반을 닦으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사우디는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에게 왕위를 이양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한편 사우디는 오는 4월 입찰에 참여한 한국과 미국·중국·프랑스, 러시아 5개국 중 2~3개국으로 후보군을 압축한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월 사우디를 직접 방문해 원전 수출 외교에 직접 나설 예정이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