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이수훈 주일대사, 위안부 합의? "장기적으로 접근. 노력 같이하기 참 어렵다"

이수훈 주일대사는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추가 조치와 관련해 “호흡을 길게 보고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면서 “위안부 문제는 그(2015년) 합의로도 해결할 수 없지만 한ㆍ일 간에 추가적인 어떤 노력을 같이 하기가 참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 대사는 지난 15일 도쿄 현지에서 한ㆍ일 기자단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교부 출입기자들과 만나 위안부 합의와 관련한 한ㆍ일간 갈등 상황에 대해 이같이 언급했다.


이어 그는 “정확한 비유인지 모르겠지만 자꾸 해결하려고 하는 건 마치 상처를 가만히 두면 낫는데, 그것을 붙이고 떼고 그러다가 덧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갈등이) 더 전진이 안되도록, 이슈가 안되도록 봉합이랄까 그런 게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그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ㆍTHAAD)’형 해법이라고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갈등의 진원지(위안부 합의)는 현 상태로 놔두고 협의 가능한 사안부터 처리하겠단 의미.

일본 정부의 추가 조치 가능성에 대해 이 대사는 “아베 정부는 위안부 합의에 대한 입장이 확고하다. 현재로서는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며 “그래서 정치인들을 많이 만나서 (이러한 일본 정부의 입장이) 확산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한ㆍ일 관계를 많이 고민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언급했다.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ㆍ중ㆍ일 3국 정상회의의 개최 시기에 대해선 “아직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면서도 “한ㆍ중ㆍ일 정상회의나 단독 방문으로 올해 내에는 당연히 (문 대통령이) 일본에 오셔야 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어 그는 “북한 문제가 악재이긴 한데 한ㆍ일을 엮어주는 것도 좀 있다”며 “일본에서는 (북한 때문에) 한국과 뭔가 협력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다”고 발언했다.

이 대사는 간담회 말미에 지난 11월 문 대통령의 방중에 대해 “한ㆍ중관계의 현안 문제(사드)를 봤을 때 ‘베스트 정상외교’라고 볼 수 있다”며 당시 ‘대통령 혼밥’ 등을 문제 삼은 비판 여론에 불만을 제기하고 나섰다.

그는 “지금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엄청난 지위에 올라있다. 아무리 다 동등한 주권 시대라 하지만 강대국이 있고 중견국이 있는 상황에서 힘든 외교를 하러 갔는데 그렇게 공격을 해대면 참 힘들다”며 “언론 뿐만 아니라 야당 정치인들이 험한 소리를 해대면 보좌하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위축된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이어 “일본은 중국보다 공격할 수 있는 소재가 훨씬 더 풍부하다”며 “중국은 어떻게 보면 (국내) 우파들로부터 공격이 들어오는 거지만 일본은 대통령 지지층으로부터 공격이 나온다. 천황한테 가서 인사를 어떻게 했네, 소파(높이)가 어쨌네 이런 이야기부터 하면…. 그렇게 막 해대면 (문 대통령이) 일본은 못오신다”고 전했다.

한편 이 대사는 전문외교관이 아닌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 때 대통령자문 동북아시대 위원장을 지냈다. 문재인 정부에선 국정기획자문위 통일외교안보분과위원장을 지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