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특허청, 지식재산권 계약 가이드북 발간

공동개발·기술이전 등 계약 유형별 상세설명

특허청이 발간한 IP Business 계약서 가이드북. / 사진=국제 지재권 분쟁정보 포털 홈페이지특허청이 발간한 IP Business 계약서 가이드북. / 사진=국제 지재권 분쟁정보 포털 홈페이지




특허청이 우리 기업과 해외 파트너 사이의 기술협상에서 고려해야 할 지식재산권 계약내용을 담은 ‘IP Business 계약서 가이드북’을 발간한다고 24일 밝혔다.


IP-Business 계약서 가이드북은 공동연구, 기술이전·도입과 관련된 비밀유지계약, 공동연구개발계약, 라이선스계약 등 기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10종의 계약에 대한 영문 표준계약서를 제공하며, 계약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 및 조항의 내용에 관한 해설과 계약서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체크리스트로 정리했다.

또한 계약서식에는 계약 담당자가 상황별로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옵션 조항을 포함해 다양한 경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고, 분쟁이 일어날 수 있는 조항과 관련 미국 판례를 소개하는 등 기업에서 협상 및 계약의 실무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최근 기업들은 해외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해외 파트너와 지식재산권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빈번해 지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지재권 무역거래량은 지난 2013년 2.94억달러에서 2016년 4.25억 달러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중소·벤처기업들은 영문 계약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인력이 없는 곳이 많고, 계약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도 부족한 현실이다. 이로 인해 해외 파트너가 제시한 영문계약서를 그대로 수용해 과도한 의무를 부담하거나, 영문계약서 내용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분쟁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박성준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계약서 작성은 모든 비즈니스의 시작과 끝이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것으로, 불명확하거나 불리한 조항은 없는지 신중을 기해야 한다”라면서 “금번 가이드북이 중소·벤처기업들과 해외 파트너 사이의 불공정 계약을 방지하여 기술보호 및 수출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IP-Business 계약서 가이드북은 국제 지재권 분쟁정보 포털 홈페이지(www.ip-navi.or.kr)를 통해 받아 볼 수 있다. 이와 별도로 특허청은 2016년 영업비밀에 대한 비밀유지계약서, 기술이전계약서를 제작한 바 있으며, 이는 영업비밀보호센터 홈페이지(www.tradesecret.or.kr)에서 받아볼 수 있다.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