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아베 총리, 평창 방문 환영”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 협력”

靑관계자 “정상회담서 아베가 위안부 입장 말하면 우리도 말할 것”

“中 폐막식에 상무위원급 이상 참석예상”...리커창 총리 참석 거론

지난해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지난해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


청와대가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아베 신조 총리의 방한을 추진한다는 일본 정부 입장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24일 브리핑을 열고 “우리 정부는 그간 일본 정부와 아베 총리의 평창올림픽 계기 방한 문제를 협의해왔으며, 오늘 일본이 방한 의사를 공식 전달해온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의 평창올림픽 계기 방한이 양국의 미래지향적인 관계발전으로 이어지도록 일본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은 별도의 정상회담을 평창에서 할지 서울에서 할지 장소 문제와 일정 및 주제 등에 대해 실무적으로 논의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아베 총리가 방한할 경우 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일본의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 이 관계자는 “우리는 한일간 미래 지향적인 관계를 고려하며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투트랙으로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가 그 말을 하면 우리도 지난 정부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다고 볼 수는 없다는 일관된 정부 입장을 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베 총리가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소녀상 철거도 주장할 것이라고 한 데 대해 이 관계자는 “그러면 우리 역시 우리 정부의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 재단에 출연한 10억 엔의 처리 문제를 두 정상이 논의할지에 대해 그는 “정상들이 그렇게 구체적인 문제를 논의하지 않을 것”이라며 “통상 정상회담의 경우 구체적 사항을 논의하지 않는 게 관례”라고 답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석 여부에 대해선 “중국은 차기 동계올림픽 개최국으로서 개막식보다 폐막식에 의미를 부여할 텐데, 개막식에 상무위원급이 오는 만큼 폐막식에는 그 이상급이 참석할 것으로 보지만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현재 리커창 총리의 폐막식 참석이 유력한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밖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평창올림픽 참석 여부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러시아에서 연락 온 게 없다. 기다려 보자”고 언급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