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화재 인명피해 3년 연속 증가…지난해 37명 숨져

방화로 인한 사망 '최다'…주거시설서 사망자 가장 많아

25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발표한 ‘최근 3년간 화재 및 인명피해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서울 시내에서 화재로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25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발표한 ‘최근 3년간 화재 및 인명피해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서울 시내에서 화재로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


최근 3년간 서울 시내에서 화재로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발표한 ‘최근 3년간 화재 및 인명피해 통계’에 따르면 2015~2017년 화재 사상자는 사망 104명, 부상 704명 등 총 808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5년 249명, 2016년 276명, 지난해 283명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 3년간 화재 사망자 104명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원인 미상’이 34명(32.7%)로 가장 많았다. 원인이 밝혀진 화재 중에서는 방화(방화 의심 포함)가 33명(31.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주의 20명(19.2%), 전기적 요인 16명(15.4%), 가스 누출(폭발) 1명(1%)으로 뒤를 이었다.


시 소방재난본부는 “방화는 휘발유나 시너 등 가연성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불이 빨리 번져 대피가 어렵다”며 “방화 피의자들에게는 주변인을 대피시킬 의지가 없다는 점도 인명피해가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사망 원인은 유독가스 연기흡입을 동반한 화상이 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화상 17명, 피난 중 뛰어내림 5명, 복합 원인 3명, 넘어지거나 미끄러짐 1명, 미상 1명, 기타 1명 등으로 집계됐다.

계절별로는 겨울이 36명(34.6%)로 제일 많았다. 장소별로는 사망자의 대부분인 79명(76%)이 주거시설에서 희생됐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 사이에 48명(46.1%)이 숨졌다. “심야 시간에는 잠이 들어 화재를 늦게 발견해 대처 능력이 떨어져 인명피해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시 소방재난본부는 분석했다.

시 소방재난본부는 화재 피해를 줄이고자 불이 났을 때 알려주는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를 비치해달라고 당부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