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평창 G-10] '협회·연맹 리스크' 딛고…8-4-8·종합 4위 이룰까

빙상연맹·스키협회 등 실책 남발

선수들에 피해…분위기도 흐려져

역대최고 성적 달성 '헛구호' 우려

29일 태릉선수촌에 복귀하는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대표팀의 노선영. /연합뉴스29일 태릉선수촌에 복귀하는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대표팀의 노선영. /연합뉴스


30년 만에 우리 땅에서 열리는 올림픽인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30일 기준으로 딱 열흘 남았다. 한국은 4년 전 소치올림픽의 71명을 훌쩍 뛰어넘는 144명의 역대 최대 규모 선수단을 29일 확정했다.

국내외에서 진행한 올림픽 리허설은 이미 마쳤고 출전선수도 결정했으니 펄펄 끓는 각오로 넘쳐나야 하지만 우리 선수단에는 여전히 어수선한 분위기가 묻어나온다. ‘협회(연맹) 리스크’ 탓이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이 행정 착오로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대표 노선영(29·콜핑팀)의 올림픽 꿈을 짓밟을 뻔했고 대한스키협회는 대표 선발 과정이 불공정했다는 일부 선수들의 반발에 휩싸여 있다. 선수 권익을 보호하고 경기에만 전념하게 지원해야 할 각 종목 협회가 오히려 선수 발목을 잡는 일이 잇따르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한국 선수단은 금 8, 은 4, 동메달 8개로 역대 최고인 종합 4위에 오른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올림픽을 코앞에 두고 벌어진 일련의 사태들이 성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가 깊다.


빙상연맹은 ‘개인 종목 출전권이 있어야 팀추월에 나갈 수 있다’는 국제연맹 룰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했다. 팀추월이 주력 종목인 노선영은 이 종목에 나서려면 일단 개인 종목에서 기준 성적을 충족시켜야 했으나 이를 확인하지 못한 연맹이 선수에게 공지하지 않았고 노선영은 개인 종목을 신경 쓰지 않았다. 어이없게 올림픽에 나가지 못하게 된 노선영은 출전권이 있던 러시아 선수의 불참 덕에 가까스로 올림픽 출전권을 얻었다. 노선영은 연맹의 대처에 크게 상처를 입어 겨우 얻은 출전 기회를 포기하려 했다가 지난 28일 어렵게 출전을 결정했다. 연맹이 영어로 된 규정을 꼼꼼히 살피기만 했어도 이런 웃지 못할 해프닝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태극마크에 대한 회의를 느낄 정도로 큰 충격을 겪은 노선영은 대표팀에서 떠나 있다가 5일 만인 29일에 복귀했다.

관련기사



남자 알파인 스키의 경성현(28·홍천군청)은 29일 대한스키협회를 상대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서를 서울동부지방법원에 제출했다. 경성현은 24일 열린 평창올림픽 한국 선수단 결단식에도 참가했으나 다음날 올림픽 출전이 좌절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스키협회는 훈련 중인 국가대표 9명 중 4명만 올림픽에 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파악해 논란을 빚었다. 또 4명을 선발하는 과정에 대한 공정성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올림픽 쿼터가 제한돼 있다 보니 여러 요인을 고려해서 선수를 뽑았다는 설명인데 이 과정에서 세계랭킹이 더 높은 선수가 탈락하는 상황이 빚어졌다. 경성현 측은 “(대표를 선발한) 기술위원회는 위원장도 없이 진행됐다. 절차상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서지혜기자 wise@sedaily.com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