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바이오 골든타임을 잡아라] 기업 R&D 투자 확대·정부 지원 맞물려야

■ 바이오벤처 붐 일으키려면

작년 국내 상장 제약사 R&D 비용

2조대로 화이자의 4분1도 안돼

벤처캐피털도 투자 안목 키워

기업 '데스밸리' 넘게 도와야







지난해 주식시장에서 코스피와 코스닥을 불문하고 제약·바이오 업종 주가가 50% 이상 올랐다. 성장성에 비해 고평가됐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자동차·철강·조선 등 전통 제조업이 맥을 못추고 있는 상황에서 제약·바이오가 미래 성장산업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줬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의약품 수출은 지난해 4조원을 넘어섰고 올해에만 미국 식품의약품(FDA) 허가를 앞두고 있는 신약도 10개 가까이 된다. 2000년대 초반 일었던 벤처 붐이 바이오 분야에서 재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이유다.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지금이 신약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적기지만 기업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더불어 정부 지원과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맞물려야 한다. 지난해 국내 상장 제약사의 R&D 비용은 약 2조원 안팎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이는 세계 1위 제약사인 화이자의 연간 R&D 비용(8조4,000억원)에 비하면 4분의 1도 안된다.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려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신시장을 선점해야 한다. 바로 바이오의약품 시장이다.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4년 기준으로 1,790억달러로 2009년 1,160억달러에 비해 54%나 늘었다. 우리나라도 2016년 기준으로 의약품 수출의 절반 가량을 바이오의약품이 담당할 정도로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바이오의약품 분야는 일부 대기업이 진출해 있고 기존 제약사들도 뛰어들고 있지만 설립된 지 10년 미만의 벤처기업들이 대다수다. 이들 바이오벤처들은 매출 규모가 적어 막대한 신약 R&D 비용을 자체 조달하기 어렵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에서부터 임상 단계에 들어가는 비용을 충당하는데 벤처캐피탈이나 사모펀드의 역할이 필요하다. 바이오벤처에 대한 벤처캐피탈의 투자 규모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다가 주춤한 상태다. 2013년 1,463억원이던 바이오·의료 분야에 대한 벤처 캐피탈 투자는 2016년 4,686억원까지 늘었으나 지난해에는 3,788억원으로 전년대비 19.2% 감소했다.


또 바이오 분야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탈들도 기존 상장사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어 초기 벤처기업은 투자받기가 갈수록 어려운 상황이다. 바이오벤처 창업이 2000년 288개에서 2016년 443개로 크게 늘었지만 임상단계에서 ‘죽음의 계곡’을 건너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 바이오벤처 관계자는 “수익률 달성에 쫒기는 벤처캐피탈들은 장기간에 걸쳐 기업 가치를 키운 뒤 인수합병(M&A)을 통해 자금을 회수하기 보다는 기업공개(IPO)를 통한 회수를 선호하기 마련”이라면서도 “가능성 있는 초기 바이오벤처를 골라내 장기 투자를 통해 길러내는 안목이 아쉽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약 개발을 위한 정부 R&D 투자도 늘어날 필요가 있다. 정부가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R&D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신약 개발 R&D 투자는 아직 부족한 수준이다. 바이오 분야에 대한 정부 R&D 투자는 2010년 7,214억원(기초·기반기술)에서 2016년 9,421억원으로 증가했으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보건복지부·산업통상자원부 등 3개 부처의 올해 신약개발 R&D 예산은 2,000억원에도 못미친다. 민간기업을 포함한 전체 신약개발 R&D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10%도 안된다. 신흥 제약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벨기에의 경우 연간 40억유로(약 5조3,000억원)의 신약개발 R&D 투자에서 정부가 15억유로를 담당해 40%의 비중을 차지한다.

박영준 아주대 약대 교수는 “신약 개발과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 연구 위주의 벤처 기업에 대한 정부 투자펀드의 조성과 활성화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비용이 많이 드는 개발 후반기의 임상제품에 대한 지원이 늘어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