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의 권혁무 교수팀은 당뇨병 때문에 신장이 손상되는 ‘당뇨병성 신증’의 원인 유전자를 찾고, 발병원리를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권 교수팀은 당뇨병 초기에 어떤 변화가 신장 손상으로 이어지는지 살폈는데, 높은 혈당이 면역세포(대식세포)의 염증반응을 유발하면서 신장이 손상된다는 걸 알아냈다. 체내 혈당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면, 몸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침투한 것처럼 인식해 대식세포가 작동하게 만드는 것이다. 연구진은 고혈당이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을 유도해 신장을 손상시키는 전반적인 과정에 ‘톤이비피(TonEBP)’라는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로 초기 당뇨환자에게 발병위험을 예측하고 조기 예방치료의 길을 열 수 있게 됐다”며 “현재 톤이비피(TonEBP) 유전자의 억제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당뇨병은 당장 드러나는 문제는 없지만 방치하면 다양한 합병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특히 당뇨병이 10년 정도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당뇨병성 신증’은 말기신부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다. 당뇨병 환자 셋 중 하나(30.3%)는 당뇨병성 신증에 걸리는데, 이 질환이 말기신부전증의 가장 큰 원인(50.2%)이다. 말기신부전증 환자는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받지 않으면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는 위중한 상태인데, 현재 한국에는 10만명이 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