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KOICA 해외사무소장직 외부에도 개방한다

혁신 10대 중점 과제 발표

국정농단 사태로 추락한 이미지 제고 나서

정부 무상원조 전담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해외 사무소장 등의 직위를 외부에 개방하기로 했다. KOICA의 이 같은 인사 방침은 창립 27년 만에 처음으로, KOICA는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되면서 추락했던 이미지와 신뢰도 회복 차원에서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혁신 10대 중점 과제’를 2일 발표했다.

KOICA 혁신안의 핵심은 조직과 인력 쇄신이다. 폐쇄적인 조직 문화를 없애고 다양한 외부 목소리 반영을 위해 개방형 직위를 전체의 10%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여성 임원과 보직자 비율을 3년 내 40%, 5년 내 50% 달성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아울러 노동자 대표가 발언권·의결권을 가지고 이사회 멤버로 참여하는 노동이사제를 도입하고,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해외 조직 내에서 성 비위와 부패·비리 문제가 수차례 불거졌던 만큼 앞으로 이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고 즉각 처리한다는 방침도 정했다.


이밖에 공적 개발원조(ODA) 사업 심사·선정의 독립성 강화, 임원과 보직자의 성과·역량의 평가 강화, 이사회의 민간 참여 확대 등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윤현봉 KOICA 혁신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혁신 과제는 과거 ODA 취지에 맞지 않는 사업을 하고 국정농단 사태와 연루되면서 추락한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자구책”이라며 “구체적인 이행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혁신 로드맵 이행 전담기구’를 신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