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미래'에 바짝 다가선 국민의당...내부수습이 관건

통합신당 당명 '미래당' 결정

분당 등 큰 고비 넘었지만

반대파 비례대표 의원과 마찰

정체성 조율 등 과제 산적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차 임시 중앙위원회의에 참석하며 웃고 있다. 국민의당은 이날 중앙위에서 전당원 투표로 합당 의결이 가능하도록 당헌을 개정했다.      /연합뉴스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차 임시 중앙위원회의에 참석하며 웃고 있다. 국민의당은 이날 중앙위에서 전당원 투표로 합당 의결이 가능하도록 당헌을 개정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이 바른정당과의 통합신당 당명(미래당)을 결정하고 문제가 됐던 당내 통합 찬반투표 방식을 개정·확정하는 등 합당에 한발 더 다가섰다. 통합을 둘러싼 갈등과 분당까지 큰 고비는 넘겼지만 당내 반대파 비례대표 의원과의 마찰, 호남 내 비판 여론, 바른정당과의 정체성 조율 등 새 간판을 단 뒤 극복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국민의당은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무위원회의와 중앙위원회의를 잇따라 열어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묻는 방식을 전당대회가 아닌 전(全)당원 투표로도 가능하도록 당헌을 개정했다. 국민의당은 8~10일 온라인투표(케이보팅)와 자동응답전화(ARS)로 전당원 투표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오는 11일 중앙위에서 결의하는 방식으로 당내 통합 논의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절차상 큰 산은 넘었지만 ‘내부 수습’이라는 과제가 남아 있다. 당장 타의로 당에 잔류한 통합반대파 비례대표인 이상돈·박주현·장정숙 의원과의 마찰이 불가피하다. 이들 3인은 반대파의 민주평화당 창당 준비과정에서 국민의당에 제명을 요구했다가 거절당했다. 비례의원은 당의 제명 없이 자진 탈당하면 의원직을 상실한다. 이들은 미래당에 남아 매번 당론에 제동을 걸 것으로 보인다. 박주현 의원은 “비례대표의 선택권을 인정하는 법 개정 운동을 하겠다”며 “보수 야합의 길을 거부하고 민평당과 함께 나아가겠다”고 대립을 예고했다.

관련기사



호남 내 비판 여론도 극복 대상이다. 호남은 국민의당의 핵심 기반이지만 이 지역 중진들이 대거 민평당으로 적을 옮기며 공백이 커진 상황이다. 현재 국민의당 통합파 중 호남이 지역구인 의원은 김관영 사무총장과 최근 합류를 선언한 중재파 박주선·주승용·김동철 의원이다. 국민의당은 미래당 공동대표를 2인 체제로 하되 한 자리를 박주선 의원에게 맡겨 민심을 달래는 방안을 유력하게 고민하고 있다. 다만 중재파 중 황주홍 의원이 지역의 요구로 민평당을 선택하고 앞서 김관영 의원의 지역구 시의원 2명이 통합에 반대해 국민의당을 탈당하는 등 미래당에 대한 호남 여론이 마냥 호의적이지만은 않다. 여기에 민평당이 ‘호남당’을 표방하며 날을 세우고 있어 지역을 둘러싼 갈등은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다.

이 밖에도 양당이 엇박자를 내온 외교·안보관을 비롯한 정체성 문제는 미래당이 안정기에 접어들기까지 ‘꼬리표’처럼 달고 다녀야 할 과제다. 보수·진보라는 결 다른 배경을 조율해 단결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통합에 주력하는 사이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개헌 문제로 당 차원의 논의를 진척시키고 있어 뒤늦게 당론을 정하고 이슈 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점도 부담이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