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도한 경쟁 유발하는 '자율동아리' 학생부서 제외 검토

자율적으로 꾸리는 동아리, 학부모나 사교육 개입 여지 커

학교 간 자율동아리 현황에 큰 차이…결국 학종 공정성 문제와 맞닿아

교육부가 고교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사항에서 자율동아리 활동을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서울경제DB교육부가 고교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사항에서 자율동아리 활동을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서울경제DB


교육부가 고교 자율동아리 활동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사항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5일 교육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교육부는 ‘학생부 신뢰도 제고 방안’의 하나로 기재항목·요소를 단순화하기로 하고 자율동아리 활동을 기재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학생부 10가지 항목 가운데 하나인 ‘창의적 체험활동’은 ▲ 자율활동 ▲ 동아리활동 ▲ 봉사활동 ▲ 진로활동으로 구성된다.

이 중 동아리활동은 교육과정의 하나로 학교가 운영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와, 학생들이 직접 꾸리는 자율동아리 등 크게 두 가지 활동을 통해 기록한다.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는 학교 차원에서 조직하고 자율동아리는 학생들이 계획서를 쓰고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을 모은 뒤 교사를 섭외하는 형식이다.


문제는 자율동아리가 학생 간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고 학부모나 사교육이 개입할 여지가 크다는 점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학부모들이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교사를 동아리 지도교사로 섭외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관련기사



학원가에서는 동아리 활동이 학생부를 내실 있게 채울 방법이라고 설명하며 학생·학부모를 대상으로 계획서 작성 특강이나 컨설팅을 진행하기도 한다. 올해 딸이 대학에 들어간 은행원 김모(50)씨는 “(딸이 고등학생일 때) 학원에서 동아리 개설방법 ‘팁’이라며 특강을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황당했다”며 “말이 ‘자율’동아리이지, 자율적인 활동이 아닌 경우가 허다하다”고 지적했다.

학교 간 자율동아리 현황이 크게 차이 나는 것도 논란거리다. 교육부의 ‘2016년 고등학교별 동아리 활동 현황’ 자료를 보면 전국 고교 2.350곳 가운데는 자율동아리를 아예 운영하지 않는 학교부터 많게는 285개를 둔 학교까지 있어 천차만별이다.

동아리가 많은 것이 학생부종합전형 등을 준비하는 데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는 않지만 학교별로 동아리 지원 방식이나 규모에 차이가 큰 것은 결국 학종의 공정성 논란과 맞닿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