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관 사칭에 대출빙자·납치 협박까지…서울 보이스피싱 39% 급증

경찰, 전담수사팀 신설

지난해 서울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1년 전과 비교해 39% 급증해 경찰이 전담 수사팀을 세우는 등 종합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연합뉴스지난해 서울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1년 전과 비교해 39% 급증해 경찰이 전담 수사팀을 세우는 등 종합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서울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1년 전과 비교해 39% 급증해 경찰이 전담 수사팀을 세우는 등 종합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보이스피싱 범죄가 지난해 서울에서 7,774건 발생해 937억원의 재산 피해를 냈다고 5일 밝혔다. 2016년에 5,594건, 피해액 560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보면 발생건수와 피해규모 모두 크게 늘었다. 검찰·경찰 직원을 사칭하면서 돈을 받아내는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의 경우 피해자 81.9%가 20~30대였다. 은행이나 대부업체를 사칭하는 ‘대출빙자 사기’ 피해자의 58.8%는 중·장년층이었고 자녀를 납치했다며 돈을 요구하는 ‘납치 빙자형’은 주로 60대 이상이 피해자였다.

관련기사



서울지방경찰청은 보이스피싱 등 콜센터나 총책 등 상위 조직원이 주로 해외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지능범죄수사대 3개 팀을 보이스피싱 전담팀으로 지정하고, 상위 조직원 추적과 국제공조 수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범죄가 자주 일어나는 5개 경찰서에 전담수사팀을 신설하고, 주요 보이스피싱 사건을 강력범죄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해 지능범죄수사팀 외 다른 팀의 형사들도 투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화로 돈을 요구하면 사기라는 인식을 각인하도록 시민들에게 홍보활동을 하고 2016년 금융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구축했던 ‘112 신고 및 현장예방·검거 체계’를 내실 있게 운영하도록 금융기관과 간담회를 실시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 등으로 보이스피싱 조직이 사전에 이름과 전화번호, 주소 등을 알고 전화하는 사례가 잦기 때문에 경찰·검찰·금융감독원·국세청 등을 사칭하는 전화를 받으면 일단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에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은 어떤 경우에도 전화로 돈을 요구하거나 대신 보관해주겠다고 하지 않는다”며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라고 유도하거나 확인서를 보여줘도 이는 모두 가짜”라고 설명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