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미국발 악재에 亞증시 패닉] 닛케이 2.55% ↓..."2013년 버냉키 쇼크와 비슷"

홍콩·베트남도 장중 3% 급락

긴축 확산땐 더 위축될 수도

미국발 채권금리 상승에 영향을 받아 일본 등 주요 아시아증시가 일제히 하락한 5일 도쿄 시내에 설치된 시세판 앞을 한 시민이 지나쳐 가고 있다. /도쿄=AP연합뉴스미국발 채권금리 상승에 영향을 받아 일본 등 주요 아시아증시가 일제히 하락한 5일 도쿄 시내에 설치된 시세판 앞을 한 시민이 지나쳐 가고 있다. /도쿄=AP연합뉴스




일본·홍콩·대만·베트남 등 아시아 주요 증시가 지난주 말 미국발 채권금리 상승과 뉴욕증시 하락에 충격을 받아 일제히 급락했다. 미 고용지표 훈풍에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글로벌 투자자들이 투매에 나선 것이다.


5일 도쿄 증시에서 닛케이255지수는 전날보다 592포인트(2.55%) 하락한 2만2,682.08에 거래를 마치며 지난 2016년 11월 이후 약 1년 3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토픽스지수 역시 전 거래일보다 2.17% 내린 1,823.74로 장을 마감했다.

관련기사



대만·홍콩·베트남 등 주요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대만 자취엔지수는 전일 대비 1.62% 내린 1만946.25에 거래를 마쳤고 호주 S&P/ASX500지수도 1.55% 내린 6,026.23에 마감했다. 홍콩·베트남·필리핀 주요 증시들도 장중 3% 이상 급락하며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날 아시아 증시의 전반적인 하락은 지난주 말 미 국채금리 상승에 뉴욕증시가 급락하자 심리적 불안감을 느낀 글로벌 투자자들이 앞다퉈 매도에 나섰기 때문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뉴욕증시의 큰 조정은 낙관론이 지배하고 있던 아시아 증시에 찬물을 끼얹었다”며 미국뿐만 아니라 앞으로 글로벌 주요 국가들이 경제 성장에 힘입어 긴축에 나설 경우 주식시장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의 후지시 코이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금융시장의 움직임이 “2013년 버냉키 쇼크와 비슷하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버냉키 쇼크는 2013년 당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던 벤 버냉키가 양적 완화 축소 가능성을 언급해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쳤던 일을 말한다. 그는 “그때와 같은 ‘패닉(공황)’ 매도가 전개되지는 않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위험 회피 분위기가 확산되면 주가 하락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