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형 우주로켓 발사 늦춘다..'한국형 스페이스X'는 2026년 선보여

[3차 우주개발계획 확정]

한국형로켓 1차 본발사 14개월 연기

2026년부터 민간 발사 서비스 시작

우리 기술 달탐사 2030년으로 늦춰

前정부서 앞당겼던 계획 되돌려

0615A14 발사체




정부가 우리 기술로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띄우기 위해 한국형 우주발사체(로켓)의 1차 본발사 일정을 2019년 12월에서 2021년 2월로 늦추기로 했다. ‘2020년 이후’로 일정이 정해졌던 달착륙선 사업은 ‘2030년 착륙 목표’로 일정이 연기됐다. 다만 한국형 시험발사체는 오는 10월 예정대로 진행하고 2020년에는 외국 발사체를 통해 달 궤도선을 쏘아올린다. 한국형발사체 사업이 성공하면 미국·유럽·일본처럼 ‘민간 우주개발 시대’도 2026년에 시작한다.


국가우주위원회는 5일 유영민 위원장(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제14회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안’과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을 심의, 확정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2013년에 수립된 ‘우주개발 중장기계획’(2014∼2040)을 수정해 문재인 정부의 우주개발 계획과 2040년까지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했다.

달탐사 사업계획. /자료:과기정통부달탐사 사업계획. /자료:과기정통부



우선 정부는 1.5톤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주력하기로 하고 시험발사체를 오는 10월에 예정대로 발사하되 실패할 경우 내년 10월에 재발사하기로 했다. 하지만 1, 2차 본발사 일정은 각각 2021년 2월과 2021년 10월로 14개월, 16개월 미뤄졌으며 올해 시험발사가 실패하면 4개월씩 추가로 늦춰진다. 사업기간도 2022년 3월까지로 1년 연장됐다. 과기정보통부 측은 “추진제탱크 제작업체가 2015년 4월에 사업을 포기하고 2016년 9월에야 신규업체가 선정됐다”며 “2011년 현재와 비슷한 수준의 우주발사체 개발 일정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취임한 뒤 2013년에 무리하게 앞당겼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우주탐사 추진 로드맵. /자료: 과기정통부우주탐사 추진 로드맵. /자료: 과기정통부


정부는 한국형발사체를 완성한 뒤 500kg 이하 위성발사가 가능한 소형발사체는 2025∼2030년, 3톤급 정지궤도위성 발사가 가능한 대형발사체는 2030~2040년에 민간이 발사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2030년 달 착륙선을 성공시킨 뒤 2035년에는 ‘소행성에서 귀환 성공’ 프로젝트도 추진하기로 했다. 2026년부터는 민간 발사서비스를 개시하고 2030년부터는 모든 중·소형 위성 발사를 민간 주도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우주산업 육성계획. /자료:과기정통부우주산업 육성계획. /자료:과기정통부


정부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성장동력 기반인 위치·시각정보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한반도 인근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KPS’(Korea Positioning System)도 구축해 2035년부터 서비스하기로 했다. 2020년부터 지상시험장구축, 탑재체 기술개발, 주파수 확보 등을 목표로 본사업에 착수하고, 위성항법보정시스템도 2022년까지 구축해 오차범위 1m 이내 정밀 위치정보서비스를 하기로 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위성 서비스 고도화 계획. /자료:과기정통부위성 서비스 고도화 계획. /자료:과기정통부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