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주요대 학종 선발인원 1/3로 제한해야"

市교육청 학종 개선방안

수시·정시모집 통합도 제안

서울시교육청이 ‘깜깜이 전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서울 주요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선발 인원을 전체의 3분의1로 제한하자고 제안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의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을 6일 발표했다. 교육청은 지난해 4월부터 학종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개선안을 마련했다.

교육청은 서울 15개 주요 대학의 학종 선발 인원을 전체 선발 인원의 3분의1 이하로 제한할 것을 제안했다. 학종·학생부교과전형·수능 선발을 같은 비율로 하는 방식이다. 2018학년도 서울 15개 대학의 학종 선발 인원은 전체의 43.3%로 전국 대학 평균인 23.6%보다 크게 높았다.


대입을 단순화해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수시와 정시 통합도 제안했다. 12월 수능성적 발표 이후 수시·정시를 함께 진행하자는 것이다.

관련기사



이 밖에 국가교육위원회 산하에 ‘학종 공론화위원회’를 마련해 공개 논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학종 공정성 제고를 위해 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학종 공정성 평가위원회’의 설치·운영도 언급했다. 학생부에 정규교육과정 활동 중심으로 ‘창의적 체험활동’만 기록하고 수상경력도 기재 횟수를 줄이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학부모 개입 과열 현상이 나타나는 자율동아리 활동 반영률도 대폭 줄이자고 했다.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는 폐지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현재 학종은 칼을 대지 않고 살아남을 수 없다”며 “서로 다른 가치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학종의 교육적 방향성과 공정성을 높이고자 대대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