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北 노동자 본국 송환 시작"

北 주재 러시아 대사

"안보리 결의 이행 위한 것"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주재 러시아 대사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 홈페이지 캡처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주재 러시아 대사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 홈페이지 캡처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주재 러시아 대사는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위해 이미 자국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을 본국으로 돌려보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타스통신은 마체고라 대사가 6일(현지시간) “북한 노동자 고용 금지는 러시아 경제에 큰 타격이지만 우리는 안보리 결의들을 철저히 이행하고 있다”며 “많은 (지방 정부) 주지사들이 (결의) 조기 이행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 이미 (북한 노동자들을) 내보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마체고라는 “이는 러시아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며 특히 극동 지역이 그렇다”면서 “(극동) 연해주의 건설은 주로 북한 노동자들의 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곳에서 약 1만2,000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해 12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장거리 미사일 ‘화성-15형’ 발사에 대한 응징으로 북한 해외 노동자들을 2019년 말까지 송환시키도록 규정한 대북 제재 결의 2397호를 채택했다.

관련기사



마체고라 대사는 북한 노동자들이 러시아에서 노예 노동을 한다는 미국 측 주장을 “완전한 헛소리”라고 일축했다. 그는 “러시아 고용주들은 북한인들에게 같은 직책의 일반 러시아 노동자들에게 지급하는 만큼의 임금을 지불한다”면서 “북한 노동자들이 받는 평균 월 500달러는 자기 나라에 있는 가족과 친인척 13명을 부양할 수 있는 돈”이라고 설명했다.

마체고라는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가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예외로 인정했음에도 나진항을 통한 러시아산 석탄 수출이 완전히 중단됐다면서 “이미 4개월째 단 1t의 화물도 가지 않고 있다. 미국의 위협 때문에 러시아 석탄업자들이 나진으로 가길 꺼린다”고 전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