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개발형사업서 해외 수주 돌파구 찾는 SK건설

카자흐서 7억弗 규모 PPP 따내



SK건설이 카자흐스탄에서 7억달러 규모의 민관협력사업을 수주하며 개발형 사업에서 해외 수주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SK건설은 지난해에만 터키 등에서 3건의 개발형 사업을 따냈다.

SK건설은 지난 7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카자흐스탄 투자개발부와 알마티 순환도로사업에 대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SK건설은 한국도로공사, 터키 알랄코(Alarko), 마크욜(Makyol)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참여했다.

이 프로젝트는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이자 카자흐스탄 최초의 인프라 민관협력사업(PPP·Public Private Partnership)으로 알마티에 총연장 66㎞의 왕복 4~6차로 순환도로와 교량 21개, 인터체인지 8개를 건설 후 운영하고 정부에 이관하는 건설·운영·양도(BOT) 방식의 개발형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7억3,000만달러(약 8,000억원), 공사비는 5억4,000만달러(약 6,000억원) 규모다. 총사업기간은 20년으로 공사기간 50개월, 운영기간은 15년10개월이며 올해 말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SK건설은 터키 업체와 함께 설계·조달·시공(EPC)을, 한국도로공사는 운영을 맡는다.

관련기사



이번 사업은 카자흐스탄 정부가 확정 수입을 지급하는 AP(Availability Payment) 방식을 채택해 교통량 예측 실패에 따른 운영수입 변동 리스크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국제금융공사(IFC) 등 다자개발은행(MDB)이 입찰 당시부터 금융을 지원하기로 예정돼 있어 SK건설은 올해 안에 금융약정 체결이 마무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건설은 해외 수주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개발형 사업으로 돌파구를 모색해오고 있다. SK건설은 지난해 2월 세계 최장 현수교인 터키 차나칼레 프로젝트에 이어 3월 이란 민자발전(IPP)사업, 12월 파키스탄 수력발전사업 등 2017년에만 총 3건의 개발형 사업을 수주했다.

안재현 SK건설 사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사업 기회가 큰 독립국가연합 시장에 첫 진출하게 돼 기쁘다”며 “SK건설의 강점인 도로·터널 및 지하공간 등 건설 기술력과 개발형 사업 역량을 살려 다양한 사업 기회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