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AI, 충남 당진에 이어 천안까지…바빠진 지자체

천안 성환읍 산란계 농장서 AI 발생

8일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 신고가 접수된 충남 천안시 성환읍의 한 농장 앞에서 시 방역관계자가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천안=연합뉴스8일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 신고가 접수된 충남 천안시 성환읍의 한 농장 앞에서 시 방역관계자가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천안=연합뉴스


조류인플루엔자(AI)가 충청남도에서 확산하는 모습이다. 당진 종계농가에 이어 천안의 산란계 농장에서도 고병원성 AI가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8일 의심 신고가 들어온 천안 성환의 산란계 농장에 대한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최종 정밀검사 결과 고병원성 H5N6형 AI로 최종 확진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천안 산란계 농장의 AI는 당진 종계농장에 이어 올겨울 들어 충남에서는 두 번째다.

특히 양계산업이 집중된 천안은 올해도 AI가 발생하면서, 2014년 이후 4년 연속 AI가 발생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2014년 1월 천안에서는 씨오리농장에서 최초로 AI가 발생, 51농가로 퍼지면서 163만여 마리의 가금류를 도살 처분하는 엄청난 피해를 봤다. 이후 2015년에는 6농가, 2016∼2017년 겨울에는 79농가에서 잇따라 AI가 발생해 모두 600만여 마리의 가금류가 땅속에 묻혔다.


이번 AI는 겨울 철새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AI가 발생한 천안 성환의 산란계 농장 주변에는 입장천과 안성천이 흐르고 있고, 많은 논이 포진해 있다.

관련기사



AI가 확산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도 바빠졌다. 구본영 천안시장은 AI대책 긴급회의를 열어 부서별 역할과 추진상황을 점검한 뒤 “AI 확산 방지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방역활동에 나선 천안시는 AI 발생 3㎞ 이내 10농가에서 사육 중인 72만여 마리의 산란계를 예방적 도살 처분하는 등 차단방역에 주력하고 있다. 통제초소도 기존 4곳에서 18곳을 늘려 상황종료 때까지 24시간 운영하기로 했다.

아산시에서는 9일 신창면 K농장의 18만8천여 마리의 산란계와 보유 계란을 모두 살처분하거나 폐기했다. 이 농장은 천안시 성환읍 AI 확진 산란계 농장주가 같이 운영하면서 사료와 계란을 같은 차량으로 운반하는 등 역학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