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펜스 귀국길서 "北 대화 원하면 대화하겠다"…美 대북정책 바뀌나

평창서 북한인사와 접촉 피하며 강경 메시지 피력 불구

북미대화 가능성 열어놔…'압박·대화 병행' 선회 전망

트럼프 행정부 대북정책 변화 없어 '제재 지속' 지적도

방한 기간 내내 북한 인사들과 접촉을 피하며 강경한 대북 메시지를 피력한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둬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경제 DB방한 기간 내내 북한 인사들과 접촉을 피하며 강경한 대북 메시지를 피력한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둬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경제 DB




방한 기간 내내 북한 인사들과 접촉을 피하며 강경한 대북 메시지를 피력한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둬 주목을 받고 있다.


펜스 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미국행 전용기 안에서 워싱턴포스트(WP)의 칼럼니스트 조시 로긴과의 인터뷰를 통해 대북 압박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면서 “대화를 원하면 대화하겠다”며 “최대의 압박 전략과 관여를 동시에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에서 억류됐다가 풀려나자마자 사망한 오토 웜비어의 부친을 대동하고 평창 올림픽을 찾아 북한의 인권상황을 맹비난하며 대북 압박의 목소리를 최고조로 끌어올린 펜스 부통령이 귀국길에서는 ‘대화’를 강조하는 태도 변화를 보였다는 평가다.

로긴은 펜스 부통령의 이러한 언급을 두고 그가 문재인 대통령과 2차례의 실질적인 대화를 통해 한미가 북한과의 추가적인 (외교적) 관여를 위한 조건에 합의했으며, 이 조건은 한국이 먼저 대북 관여에 나서고 미국도 뒤따를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로긴은 문 대통령이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실질적인 단계를 밟지 않는 한 다시 대화 테이블에 앉는 것만으로는 북한에 경제·외교적 혜택을 주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분명히 한 점이 펜스 부통령으로 하여금 평창 이후 외교적 해법에 기대를 걸게 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김여정 북한 중앙위 제1부부장이 문 대통령에게 북한 방문을 요청했으나 문 대통령이 즉답하기보다는 “여건을 만들어 성사시키자”며 사실상 미국과의 긴밀한 소통과 조율을 전제로 한 점을 펜스 부통령이 주목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남북 정상회담을 포함한 북한에 대한 관여가 대북 제재와 압박을 흔들지 않고 비핵화 대화로 이어진다면 백악관도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다는 의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와 관련해 미국의 싱크탱크인 헤리티지재단의 한반도 전문가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문 대통령은 북한이 위협과 도발을 계속한다면 대북 제재가 계속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비핵화가 정상회담 의제가 돼야 한다고 주장해야 한다”면서 “그러면 미국과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따라서 펜스 부통령의 입장 변화는 비핵화를 목표로 한 대화라는 기존의 경직된 입장에서 탈피해 최대의 압박 공조를 유지하면서도 일단 문턱을 낮춰 대화의 문을 열어놓을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금까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펜스 부통령,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등 백악관은 북한과의 대화를 중시해온 틸러슨 국무장관이나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과는 달리 비핵화 약속을 대화의 입구로 강조해왔다. 최근 제한적 대북타격을 의미하는 ‘코피 전략’에 반대한 것으로 알려진 빅터 차 전 주한 미 대사 내정자가 결국 낙마한 것도 이러한 강경 기류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이처럼 압박 속에서 대화 가능성을 동시에 열어놓는다는 점을 근거로 “펜스 부통령이 북미 대화 전망을 키웠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미국이 대북 외교를 놓고 엇갈리는 신호를 보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국이 궁극적으로 미국과 북한과의 대화를 염두에 두고 올림픽 이후 남북 간의 관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북한이 협상에 나서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끝내도록 하기 위한 제재는 강화돼야 한다는 점도 한국과 합의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 역시 같은 이유로 펜스 부통령이 정책 변화를 암시했다고 지적했으며, CNBC방송은 펜스 부통령이 취한 이러한 전략이 북한의 공세적인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해결하기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시도에 있어 중대한 변화를 보여준다면서 경제제재라는 과거의 시도와는 다르다고 보도했다.

다만 큰 틀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변화가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는 지적도 많다. ‘최대의 압박과 관여’는 원래부터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외교라는 큰 틀에서 함께 진행됐다는 논리다. 실제로 펜스 부통령은 12일 귀국 직후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올려 미국의 대북 정책 기조는 바뀐 것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대화 가능성을 재차 언급하는 동시에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도 예고했다.

펜스 부통령은 트위터에서 “일본, 한국과 우리의 강력한 동맹을 재확인해 자랑스럽다. 이번 (한국 방문을 통해) 북한에 대한 우리의 정책이 바뀐 것은 없다”며 “대통령은 ‘나는 항상 대화를 믿는다’고 말했지만 대화를 위한 보상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펜스 부통령은 이어지는 트윗에서 “잠재적인 대화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또 (북한과) 미국, 혹은 (북한과) 한국의 대화가 이뤄진다더라도 새로운 강력한 제재가 곧 나올 것”이라며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폐기할 때까지 최대한의 압박 캠페인을 강화시켜 나가겠다. 모든 동맹국이 동의했다”고 강조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