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떡국 먹어봤자 나이 더 먹었단 실감만 나는걸요"…취준생들의 명절나기

자소서 쓰랴 면접 준비하랴 '명절은 사치'

설에도 도서관 자리 경쟁 치열해

구정 전날인 15일 오전 10시. 기자가 찾은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캠퍼스는 교내를 오가는 학생들로 여전히 분주했다. 대다수는 후드티셔츠에 트레이닝 바지 등의 편한 복장을 한채 발길을 도서관으로 향했다. 명절임에도 불구하고 100명이 넘는 학생들이 24시간 열람실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특히 인기가 좋은 노트북 전용석에는 빈자리가 거의 없었다.

“명절 분위기? 취준생한테 그런 게 어딨나요”

설 연휴도 학교 도서관에서 보내고 있는 취준생(취업준비생)들은 취업을 위해 명절도 유예한다. 명절을 건너뛴 지 2년이 넘었다는 김모(26)씨는 “어차피 떡국 먹어봤자 나이 더 먹었다는 실감밖에 더 드냐”고 반문하며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도 자소서 쓰랴 면접 준비하랴 정신이 없다”고 말했다. 부모의 눈칫밥을 먹을 바에야 학교에 남아 공부하는 게 마음이 편하다는 얘기였다.

15일 오전 학생들이 연세대학교 도서관 스터디룸에서 타이머를 맞춰놓고 법학적성시험 문제풀이에 열중한 모습이다./오지현기자15일 오전 학생들이 연세대학교 도서관 스터디룸에서 타이머를 맞춰놓고 법학적성시험 문제풀이에 열중한 모습이다./오지현기자


3년째 변리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류모(24)씨도 부담감을 호소했다. “집이 부산인데 내려갔다오는 시간 동안 공부를 못 한다는 불안이 크다”면서 “고시생은 바이오리듬을 유지하는 게 중요해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자리를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임모(26)씨는 “저희 스터디가 10명인데 설이라 공부를 거르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고 했다. 사기업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이모(27)씨는 “매 명절 별 느낌은 없지만 ‘벌써 세번째 설이라니 빨리 끝내고 싶다’고 생각한다”고 토로했다.

설 연휴인 15일 오전 연세대학교 도서관 24시간 열람실의 풍경이다./오지현기자설 연휴인 15일 오전 연세대학교 도서관 24시간 열람실의 풍경이다./오지현기자


실제로 대학 도서관은 평소와 다름 없이 빈자리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열람실은 물론이고 취준생들이 그룹스터디를 위해 이용하는 세미나실은 열한 개가 전부 차있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경비노동자 A씨는 “어제 새벽 두 시에도 도서관이 꽉 차 앉을 자리가 없을 정도였다”며 “요즘 취업이 힘드니 학생들 도서관 자리 경쟁이 치열하다”고 말했다. 서대문구에 위치한 이화여자대학도 마찬가지였다. 가방을 메고 불이 환히 밝혀진 열람실로 들어가는 학생들의 모습이 학교를 찾은 관광객들과 대비를 이뤘다.

15일 오후 불이 켜진 이화여자대학교 ECC 열람실로 학생이 들어가고 있다./오지현기자15일 오후 불이 켜진 이화여자대학교 ECC 열람실로 학생이 들어가고 있다./오지현기자


오히려 명절 연휴에 대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았다. 김모(24)씨는 “명절에도 도서관에 있는 건 상관 없는데 식당이 전부 문을 닫아 밥을 먹을 수 있는 곳이 없다는 게 조금 서럽다”고 말했다. 김씨도 “스터디를 해야 하는데 도서관이나 학교 밖의 스터디룸이 영업을 하지 않고 밥 문제가 생기니까 불편하다”고 덧붙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 실업률은 8.7%로 전년 동월 대비 0.1%p 늘었다. 이중 20대 실업자는 34만2000명에 달한다. 청년 실업률이 역대 최고 수준이었던 지난해 말에 비해 다소 회복했으나 2월 졸업자들이 취업전선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여전히 청년 고용상황은 경고등이 켜진 상태다.

관련기사



오지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