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8-4-8-4 프로젝트' 성패, 쇼트트랙에 달렸다

"종합 4위 달성하려면 金4 필요"

금2·동1 따낸 메달밭 쇼트트랙

최민정 1,500m 출전 3관왕 시동

선수층 두꺼워 계주 동반金 유력

매스스타트 이승훈도 우승 바짝

1915A10 반환점


‘금빛 설 연휴’를 보낸 대한민국 선수단이 목표 달성을 향해 진군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9일 개막한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어느덧 반환점을 돌았다. 대회를 앞두고 우리나라가 세운 목표는 소위 ‘8-4-8-4’. 금메달 8, 은메달 4, 동메달 8개를 따내 종합순위 4위에 오르겠다는 것이다. 우리 선수단은 민족 큰 명절인 설을 맞은 국민들에게 승전보를 선물하며 금메달 8개 획득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특히 최민정(20·성남시청)의 역할이 컸다. 최민정은 17일 강릉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대회 쇼트트랙 여자 1,500m 결선에서 한국 선수단에 세 번째 금메달을 안겼다. 이날 경기는 최민정의 압도적인 경기력과 근성을 보여준 한판 승부였다. 생애 처음 출전한 올림픽 무대 첫 경기였던 500m 결선(13일)에서 실격당해 충격을 받았을 만도 했지만 최민정은 ‘얼음공주’ 그 자체였다. 13바퀴 반을 도는 1,500m 레이스에서 최민정은 기다릴 줄 알았다. 5바퀴째까지만 해도 서두르지 않고 4위 자리를 유지하며 체력을 아꼈다. 최민정을 뒤에 둔 경쟁자들은 자리싸움에 집중했다. 11바퀴를 지나자마자 최민정은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체력과 스피드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외곽으로 추월해 나갔고 12바퀴째가 되자 단숨에 선두였던 킴 부탱(캐나다)마저 제쳤다. 승부는 여기까지였다. 가속이 붙은 최민정은 독주하다시피 레이스를 마쳤고 경쟁자들은 2위 다툼을 벌였다. 다관왕을 향해 시동을 건 최민정은 20일 3,000m계주에 이어 오는 22일 1,000m에서 다시 금빛 레이스를 펼친다.

최민정에 앞서 16일 설날에는 ‘아이언맨’ 윤성빈(24·강원도청)의 쾌거가 있었다. 윤성빈은 남자 스켈레톤에서 아시아 선수로는 최초로 올림픽 썰매 종목 금메달을 수확해 새 역사를 썼다. 여기에다 17일에는 쇼트트랙 남자 1,000m의 서이라(26·화성시청)가 값진 동메달을 보탰다.


이로써 이달 10일 임효준(22·한국체대)의 쇼트트랙 남자 1,500m 첫 금메달로 산뜻하게 스타트를 끊은 뒤 13일에는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500m에서 김민석(19·성남시청)이 동메달을 추가한 한국은 ‘8-4-8-4’ 고지 점령을 낙관적으로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무난하게 대회 전반부를 마친 대한민국호는 종합 4위 달성을 위해 후반부에 4개 이상의 금메달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후반부 역시 빙상 종목에 시선이 쏠린다. 이번 대회에서 윤성빈이 값진 썰매 금메달을 목에 거는 등 한국 동계스포츠는 ‘메달 획득선 다변화’에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아무래도 메달 레이스의 주력은 ‘효자종목’이라고 봐야 한다. 전통적인 동계스포츠 선진국들 역시 스키와 빙속 등 ‘메달밭’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선수단은 빙상 중에서도 쇼트트랙이 제 몫을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18일까지 금 2, 동 1의 수확을 올린 한국 쇼트트랙은 남자 500m와 5,000m계주(이상 22일), 여자 3,000m계주(20일)와 여자 1,000m(22일) 등 남은 4개 종목에서 3개 이상의 금메달을 기대한다. 두꺼운 선수층을 자랑하는 한국은 남녀 계주 동반 우승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각각 남자 1,500m와 여자 1,500m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임효준과 최민정은 다관왕을 노린다.

스피드스케이팅도 힘을 보탠다. 2010밴쿠버올림픽 1만m 금메달리스트인 ‘장거리 간판’ 이승훈(30·대한항공)은 24일 열리는 남자 매스스타트가 주 종목이다. 이승훈은 페이스 조절을 위해 출전한 이번 대회 5,000m와 1만m에서 각각 5위와 4위로 기대 이상의 성적을 올려 매스스타트 초대 챔피언 등극 전망을 밝혔다.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