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주먹구구·자판기식 교육으론 '4차혁명 인재' 못 키운다

[한국 주력산업의 현주소는]

상위 1% 창의·혁신성은

세계 최하위권에 머물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실시하는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에서 우리 청년들의 평균적인 역량이 높은 평가를 받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25~34세 한국 청년의 언어능력은 최상위권이고 수리능력과 문제해결능력도 중상위권이다. 하지만 상위 1%의 역량을 보면 얘기가 다르다. 한국 상위 1% 청년의 언어능력은 33개국 중 25위, 문제해결능력은 26위에 불과하다. 고만고만한 수준의 인재는 잘 키워내도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는 양성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한국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뒤처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사실 천편일률적인 ‘자판기식’ 교육 시스템은 지난 수십 년간 한국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온 것들이다. 하지만 한국의 교육·인재 양성 정책은 그때그때 임기응변식으로 실효성 없는 대책을 반복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11월 범정부 차원에서 발표한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의 혁신 인재 양성 대책을 보자. 소프트웨어중심대학 확대, 스마트공장 운영설계 전문인력 양성, 취약한 첨단 분야에 해외 신진연구자 유치 등 기존에 나왔던 얘기의 재탕이거나 구체성이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교육부가 지난 1월 업무보고 때 발표한 인재 양성 대책 역시 추상적인 구호만 늘어놓았다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교육 시스템 전반을 개혁하는 정책 전환 없이는 혁신 인재 양성은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박윤수 박사는 “고급 인재는 결국 대학에서 나오는데 우리나라는 대학이 수도권 규제와 가격·정원 규제에 묶여 경쟁이 일어나지 않고 혁신을 할 수가 없는 구조”라며 “이런 구조 자체를 바꾸는 혁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