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심상찮은 경총 기류] "왜 안건 안올리나"에 "회장단도 모르는 내정 어디있나" 고성

●정부 입김 경총 개조 시도 실패…경총회장 선임 파행

박상희(오른쪽 두번째) 대구경총 회장이 22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열린 제49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정기총회에 참석해 어두운 표정으로 총회 진행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송은석기자박상희(오른쪽 두번째) 대구경총 회장이 22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열린 제49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정기총회에 참석해 어두운 표정으로 총회 진행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송은석기자


“전형위원회 6명 중 5명이 대기업 관계자고 중소기업 출신은 1명밖에 없다. 이러니 경총이 제대로 운영되겠는가.”

2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1층 그랜드볼룸에서 진행된 경총 총회장에서 고성이 터져 나왔다. 신임 회장으로 내정됐던 박상희 대구경총 회장이었다. 박 회장은 “왜 안건조차 올리지 않느냐”며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했다. 이후 박병원 경총 회장이 “내가 더 이야기를 해야 그만하겠느냐”며 고함을 치기도 했다. 박상희 회장은 이날 전형위에서 끝내 합의 추대가 불발되자 회의장 밖으로 나와 “대기업들의 입김이 너무 세다”고 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제7대 회장 선임을 두고 내홍을 겪고 있다. 신임 회장 내정자로 알려졌던 박상희 대구경총 회장을 대기업 회원사들이 반대하는 등 총회가 난장판이 되면서 회장 선임건이 하루 만에 원점으로 돌아간 것이다.

◇정부 코드 맞추기에 반기 든 대기업들=지난해 5월 문재인 대통령은 사용자 입장을 대변하는 경제단체인 경총에 대해 “양극화와 청년실업 문제 등 모든 일자리 문제에 대해 정부·노동계와 함께 책임져야 할 분명한 축이고 당사자”라며 “이에 대한 성찰이나 반성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당시 김영배 경총 상임 부회장이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추진과 관련해 “사회 각계의 정규직 전환 요구로 기업들이 매우 힘든 지경”이라며 정부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비판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시한 것. 이후 경총은 본업인 노사 관련 문제도 대한상의에 키를 넘겨주고 사용자 관련 입장 표출을 최대한 자제하는 등 정상적인 업무를 진행하지 못해 왔다.



2315A02 경총


사용자 대변 단체 수장에 중기출신 인물에 반감

“정부 경총 때리기 기조 없었다면 소동 없었을 것”


“제목소리 내게 해줘야” 지적 속 손경식 회장 거론

관련기사





이후 경총 내부에서는 경총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신임 회장에 새로운 인물을 앉히고 정부 기조에 발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런 과정에서 천거된 인물이 박상희 대구경총 회장이다.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을 두 번이나 했고 16대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등을 역임해 정치 감각도 갖췄다는 평가였다. 대기업 중심인 경총 문화를 중소기업과 지방 경제인 중심으로 이끌어 문재인 정부가 추구하는 경총의 개혁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깔렸다. 19일 8개 대기업그룹이 참석한 가운데 조선호텔에서 열린 경총 회장단 오찬 모임에서 ‘박상희 추대’ 발언이 나온 것도 이런 배경이다.

하지만 22일 열린 경총 총회에서 분위기는 180도 달라졌다. 경총은 회장이 선정하는 전형위원들이 논의해 새 회장을 추대한다. 이번에도 6명의 위원들이 논의했다. 그런데 내정자라던 박 회장에 대한 이야기는 전혀 없었고 심지어 안건에도 오르지 않았다. 이유는 대기업 회원사들이 크게 반발했기 때문이다. 매년 수억원씩 회비를 내고 사용자 입장을 대변하라고 만든 단체를 중소기업인이 주도하며 정부 코드에 맞춰 노동 이슈에 정권 거수기화되는 것을 공개적으로 반대한 것이다. 한 재계 고위 관계자는 “사실 박상희 회장이 경총 내에서 존재감이 거의 없던 인물이었는데 이번에 갑자기 등장한 것”이라며 “정부의 경총 때리기 기조가 없었다면 이번 총회와 같은 소동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총, 제 목소리 내게 해줘야”=경총은 이르면 이달 말 전형위원회를 다시 열고 차기 회장 후보를 정한다. 재계 원로인 손경식 CJ 회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차기 회장이 누가 되더라도 정부의 입김과 회원사 간 갈등을 조율하는 역할은 부담스럽다. 한번 홍역을 치른 박 회장이 다시 회장으로 추대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경총은 노사관계를 주도하고 경영계 의견을 대표하는 단체다. 하지만 정부의 압박과 대기업 회원사와 중소기업 회원사의 갈등까지 더해지면 경영계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기 힘들다.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등 산적한 노동 관련 이슈에 대해 경총의 쓴소리가 없다면 당장 정부 입장에서는 편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짐이 될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경제 단체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판을 깔아주면 결국 정부에도 도움이 된다”며 “친기업이 아니라 제대로 된 경제 활동을 위해 경제단체는 꼭 필요한 조직”이라고 말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