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어렵다길래 GM 관용차도 더 사줬는데..." 정부 부글부글

작년 26% 늘어난 645대 구매

"물밑지원에도 적반하장" 공분

2615A03 국가기관 한국 GM 차량 관용차 구매 현황


지난해 국가기관이 철수설(說)을 흘리며 경영 애로를 호소했던 한국GM 차량을 관용차로 대거 구입해 물밑지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GM은 군산공장 폐쇄를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한국 정부에 막대한 자금 지원을 요청하는 등 ‘객반위주(客反爲主)’의 행태를 보여 공분을 사고 있다.

25일 조달청을 통해 정부부처·공공기관·지자체의 한국GM 차량 구매 현황을 받아본 결과 지난 2016년에는 스파크·크루즈·말리부 등 119대가 관용차로 팔려나갔다. 이는 전체 국가기관이 구매한 차량의 5.6%로 15억원 상당이다. 지난해 한국GM이 군산공장의 가동률을 서서히 줄이며 철수를 압박하자 한국GM 관용차 구매 대수는 급격히 늘어났다. 2017년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 국가기관은 84억원을 들여 한국GM 차량 645대를 구매했다. 이는 전체 관용차 구매량의 26.6%에 달했다. 2016년보다 21.0%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한국GM 차량의 관용차 구매 비율도 한국GM 차량의 내수판매 비율보다 3배 이상 높아졌다. 지난해 한국GM 차량의 국내 판매 대수는 13만2,378대로 7.7%다. 일반 국민은 10대 중 1대도 한국GM 차량을 구매하지 않았으나 정부 기관은 4대 중 1대꼴(26.8%)로 한국GM 차량을 사들인 셈이다. 이에 더해 환경부가 한국GM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에 지급한 보조금까지 더하면 한국GM이 정부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지원받은 액수는 170억원을 넘는다. 지난해 한국GM 전기차 볼트에 지급된 보조금은 한 대당 1,400만원으로 총 563대에 약 78억원이다. 하이브리드차 보조금도 한대당 500만원씩 총 94대에 4억7,000만원이 소요됐다.

관련기사



올해에도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국GM 차량의 구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부평공장이 위치한 인천의 경우 자동차발전협의회를 가동해 인천 지자체 내에서만 올해 관용차 150대를 사들이기로 결의했다.

정부부처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군산에서도 한국GM 차량 구매운동이 있었다”며 “이러한 노력을 무시하고 공장 폐쇄를 결정한 한국GM에 대해 투명한 실사를 거쳐 ‘먹튀’를 방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투자계획 등을 받아내야 한다”고 밝혔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