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노조 "더블스타 보단 법정관리"…산은 "P플랜으로 가겠다"

파국 치닫는 '강대강' 대치에

금호타이어 법정관리 위기

금호타이어(073240) 노조와 채권단이 ‘강대강’으로 대립하면서 금호타이어의 법정관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노조는 채권단이 중국 더블스타로의 매각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법정관리를 불사하겠다는 배수의 진을 쳤다. 채권단은 실무협의회를 열어 법정관리를 포함한 실행 가능 방안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금호타이어의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은 “28일 채권단 간 실무책임자회의를 열어 금호타이어와 관련해 실행 가능한 처리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경영정상화 이행약정서(MOU) 체결 시한인 26일 채권단은 “해외 투자 유치가 불가피할 경우 노조와 재차 협의하겠다”고 한발 양보했지만 금호타이어 노조가 끝내 자구안 동의에 거부하자 다음 수순으로 돌입한 것이다. 금호타이어 노조는 전날 채권단의 최후통첩에 대해 “해외 매각을 공식 철회하지 않으면 자구안에 대한 논의 자체를 거부한다”며 “채권단은 금호타이어의 경영정상화 파국 초래에 대한 책임을 노조에 전가하지 마라”고 맞섰다. 노조 관계자는 “더블스타로의 매각보다 차라리 법정관리가 낫다는 게 조합원의 공통된 의견”이라며 “GM의 사태를 볼 때 더블스타가 제시한 3년 고용 보장은 허울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채권단은 자구계획 이행을 통한 경쟁력 확보 조치가 없으면 금호타이어는 계속기업으로서 존속이 사실상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28일 열리는 채권단 회의에서는 법정관리의 일종인 ‘P플랜(Pre-packaged plan·프리패키지드플랜)’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P플랜은 법정관리와 채권단 중심의 워크아웃을 결합한 기업 구조조정 방식으로 법원이 강제 채무조정을 한 후 채권단이 신규 자금을 투입하는 식이다.

다만 채권단과 노조가 극적으로 타협할 여지는 남아 있다. 산은이 플랜B 검토에 나서겠다면서도 “기 결의 사항인 상환유예 등 여신완화에 대한 효력상실 조치는 잠정유보할 계획”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지난 1월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을 체결하는 것을 조건으로 만기를 1년 연장해준 1조3,000억원의 채권을 즉각 회수하지는 않겠다는 얘기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이날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노조의 해외 매각 철회 요구에 대해) 좀 더 협의해봐야 결론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산은 관계자 역시 “향후라도 노조가 자구안에 동의하면 26일 개최한 이사회가 정회 후 재개된 것으로 해석해 기한 내에 MOU를 체결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조민규·조권형기자 cmk25@sedaily.com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