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金, 대북특사 도착하자마자 면담...특사단 '비핵화 담판' 나서

대북특사단, 김정은 위원장과 오후 6시부터 면담·만찬(종합)

리선권이 공항영접…김영철 통전부장이 숙소 ‘고방산초대소’서 영접

靑 “영접인사·경호·숙소 준비상황 등 환대 위해 준비 많이 한 듯”

대북특사, 방북 첫날 김정은과 만찬...北 대미대화 절박함의 신호

정의용·서훈 방북...北측 '쌍중단' 요구할지 주목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이 5일 오후 방북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만찬을 같이 했다.

‘한반도 비핵화’를 논의하러 간 특사단을 김 위원장이 첫날 곧바로 만난 것은 미국과의 대화와 관계개선을 모색하며 국제제재를 완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각에서는 협의 과정에서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훈련을 함께 중단하는 이른바 ‘쌍중단’을 들고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5·6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특사단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접견과 만찬을 오후6시부터 진행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날 오후1시50분께 특별기로 성남 서울공항을 출발한 특사단은 오후2시50분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했다. 특사단은 리현 통일전선부 실장의 기내 영접을 받았고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과 맹경일 통일전선부 부부장이 공항에 나와 특사단을 맞이했다.

이어 오후3시40분 숙소인 고방산초대소에 도착해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전부장의 영접을 받았다. 특사단과 김 부위원장 등은 15분가량 방북일정을 협의했고 이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접견과 만찬이 결정됐다. 김 위원장이 남측 인사와 만난 것은 지난 2012년 집권 이후 처음이다. 정의용 수석특별사절은 면담 때 김 위원장에게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특사단과 김 위원장의 회동 이후 공동보도문이나 합의문 도출 가능성에 대해 “정상 간 회담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것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양쪽 합의나 양해하에 특사단이 뭔가 발표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