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봄철 스포츠 활동 후 발목 ‘삐끗’, 제 때 치료안하면 만성 발목염좌 진행돼

사진설명▶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 강남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용상 부원장이 환자에게 발목 MRI 검사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설명▶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 강남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용상 부원장이 환자에게 발목 MRI 검사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완연한 봄 날씨가 지속되며, 야외로 나가 운동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내내 지속된 한파에 경직된 관절 근육을 풀어주는 준비운동에 소흘하며, 이에 따른 부상 또한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충분한 준비운동 없이 스포츠 활동에 임하거나 갑작스럽게 무리한 활동을 할 경우 관절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발목은 몸 전체를 지탱해주면서 운동성이 많은 부위로, 활동 중 손상되기 쉬운 부위 중 하나다. 스포츠 활동을 즐기다 발목이 꺾이거나, 급하게 뛰거나 계단을 내려갈 때 발목을 접지르는 등 발목 부상의 위험이 높다.





대표적인 발목 스포츠 손상 ‘발목염좌’, 접질린 후 통증과 붓기 동반

특히 스포츠 활동으로 많이 발생되는 부상 중 하나는 ‘발목염좌’다. ‘발목을 삐었다’ 혹은 ‘발목을 접질렀다’고 표현하는데, 의학적으로는 ‘발목염좌’라고 한다. 발목을 지탱해주는 인대에 부분적으로 파열이 일어나는 것을 뜻한다. 발목염좌는 한 번 발생하면, 지속적으로 발목을 삐게 되면서 통증과 붓기를 동반할 수 있다. 인대가 파열되면 관절의 움직임이 비정상적으로 되고 발목 관절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 강남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용상 부원장은 “한 번 발목을 접지르면, 인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관절 자체가 불안정해져 지속적으로 발목을 접지를 수 있으며, 연골을 손상시켜 차후 관절염까지 진행할 수 있다”며 “만약 발목을 접지르고 여러 주가 지나도 원래 상태로 회복되지 않고 붓기나 통증을 동반한다면,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검진을 받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만성 발목염좌, ‘관절내시경’으로 정확하고 안전한 치료

발목 인대가 부분적으로 손상됐거나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얼음찜질로 환부를 차게 한 후 압박붕대를 통해 다리를 높이 올려 최대한 활동을 줄인다. 이 때는 발목 보호대를 착용하면서 발목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종이나 통증이 어느정도 가라앉으면, 온찜질이 회복에 도움될 수 있다. 서서히 통증이 사라지고 부기가 빠지면, 인대에 무리가 가지 않게 관절운동이나 근력강화 운동을 시작한다. 발목을 오른쪽 왼쪽으로, 좌우 부드럽게 돌리는 동작이 발목통증과 피로를 풀어줄 수 있다. 선 상태에서 발가락 끝 힘으로 다리를 올렸다 내리는 동작은 발목 근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만약 지속적으로 발목을 접지르거나 보행 시 발목이 불안정한 상태라면, 만성 발목염좌를 의심해 보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만성 발목염좌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문제가 되는 부위를 정확히 관찰하면서 동시에 치료까지 할 수 있다. 관절내시경은 내시경이 삽입될 최소한의 절개를 통해 발목 관절 속을 직접 관찰하면서 치료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김용상 부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발목염좌는 발목을 보호하는 보호대 착용과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병행하면 빠른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발목 관절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며 “만약 지속적으로 발목을 접지르는 만성염좌는 보다 적극적인 관절내시경 치료를 통해 문제가 되는 부위를 정확히 확인하고 치료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야외활동 혹은 스포츠 활동 전에는 약 15분 정도 충분한 스트레칭과 준비운동을 통해 부상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발목부터 시작해서 무릎, 허리, 어깨 관절까지 충분히 풀어주고, 활동 후에도 마찬가지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이 받았던 피로도를 풀어준다. 갑작스럽게 방향을 꺾거나 충격이 가는 활동은 삼가는 것이 좋고, 단계를 서서히 높여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