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12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3월호’를 발표하고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투자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기저효과 등으로 생산·소비도 큰 폭으로 반등하며 회복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 달 전 “생산·소비·설비투자가 반등해 경기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던 것과 같은 기조를 유지했다.
다만 청년실업률이 오르는 등 고용 여건은 여전히 어렵다고 진단했다. 1월 청년실업률은 1년 전보다 0.1%포인트 오른 8.7%였다. 전체 취업자 수 증가폭은 제조업·건설업 고용 개선 덕에 4개월 만에 30만명대(33만4,000명·전년동월대비)로 올라섰지만 청년 일자리 ‘보릿고개’는 여전했다.
서비스업 고용 부진도 계속되고 있다. 1월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 수는 4만2,000명으로 1년 전(31만3,000명)보다 8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관련 조치로 외국인 관광객이 줄고 가계소득이 정체한 점이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음식·숙박업(-3만1,000명), 도소매업(-3만2,000명), 일용직(-6만9,000명) 등 비교적 영세한 분야가 부진했다. 조선·자동차 등 지역 경제와 밀접한 산업의 구조조정으로 고용 상황은 앞으로 더 나빠질 수 있다.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 등 통상 현안과 미국 금리 인상도 위험 요인으로 지적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캐나다·멕시코산을 제외한 모든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고율의 관세 부과를 강행했다. 유럽연합(EU)은 즉각 미국 수입품에 보복관세를 물리겠다고 반발했다. 고광희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대(對)미국 철강 수출은 지난해 기준 전체 수출의 0.7% 수준으로 철강만 한정해서 보면 우리 전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그렇게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보복관세가 확산되는 경우에는 상당한 하방 리스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급물살을 탄 남북 관계 해빙은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 4월에는 남북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고 5월 중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면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생겼다. 고 과장은 “북한 리스크는 항상 우리 경제에 하방 리스크였던 만큼 아무래도 긍정적인 영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