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트럼프-김정은 회담 평양 1순위…워싱턴·판문점도 거론

김정은, 효과 극대화 위해 방미할 수도…판문점·제주도 등도 거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현지시간으로 8일 오후 워싱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회담 제안을 수락했다는 내용을 포함한 면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출처=청와대 제공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현지시간으로 8일 오후 워싱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회담 제안을 수락했다는 내용을 포함한 면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출처=청와대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북미대화 제안을 수락하면서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장소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백악관은 미국 현지 시간으로 8일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만남 제안을 받아들일 것이라면서 구체적인 일정과 장소는 추후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일단 북미 대화 제안을 김 위원장이 했다는 점에서 회담 장소로 평양이 유력해 보인다. 또 북미 간 첫 정상회담인 만큼 양측 모두 경호 등을 챙기는 데 있어 미국보다는 통제된 북한이 훨씬 수월하다는 점도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도 모두 평양에서 열렸으며, 지난 2000년 성사 직전까지 갔던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의 정상회담도 평양에서 개최하는 방향으로 추진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거침없는 면모를 보이는 김 위원장이 북한 내의 평양이 아닌 장소를 정상회담장으로 제안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종종 플로리다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외국 정상을 만나듯 김 위원장도 자신이 즐겨 찾는 것으로 전해진 원산 등 평양이 아닌 지방의 초대소를 회담장으로 제안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이 회담장소로 워싱턴을 제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위원장은 대북특별사절단과의 만찬에 부인 리설주를 대동하는 등 최근 정상국가로서 면모를 과시하기 위해 힘쓰고 있기 때문이다. 그가 미국 방문을 ‘불량국가’이미지를 벗는 전략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가 미국을 방문한다면 2012년 집권 이후 첫 해외방문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김 위원장이 이를 원한다 해도 미국이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언제든지 지금의 대화 국면이 뒤집힐 수 있는 상황에서 김 위원장을 워싱턴으로 초청하는 것은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에게 상당한 정치적 리스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회담장으로 판문점도 고려할 수 있다. 냉전의 상징인 판문점에서 개최되는 회담은 북한과 미국 모두에게 상대적으로 부담도 적고 회담 의미도 상승시킬 수 있다. 남북정상회담이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에서 열리니, 북미정상회담은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개최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일각에서는 북미정상회담을 사실상 중재한 한국에서 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전망한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는 9일 “평양이 1순위지만 중재 역할을 한 남측에서 회담이 열린다면 중립적 성격이어서 미국과 북한도 모두 부담을 덜 수 있다”면서 “제주도도 회담장으로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