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생곡마을 주민들 “삶과 안전에 심각하게 위협받아”…부산시에 진정서 제출

15일 오전 생곡폐기물처리시설대책위원회(배병문 윈원장)가 부산시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부산시가 약속한 이주대책을 조속히 추진해 달라”고 촉구했다./조원진기자15일 오전 생곡폐기물처리시설대책위원회(배병문 윈원장)가 부산시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부산시가 약속한 이주대책을 조속히 추진해 달라”고 촉구했다./조원진기자



마을 이주문제로 부산시와 갈등을 빚고 있는 생곡폐기물처리시설대책위원회(배병문 윈원장)가 15일 오전 부산시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대책위는 이날 “쓰레기매립장이 들어선 마을에는 179가구 423명 주민의 삶과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며 “시민의 생존권과 보건ㆍ안전과 직결된 이주문제에 관해 절박한 심정으로 진정서를 제출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대책위가 제출한 진정서에는 부산시가 약속한 이주대책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대책위는 2016년 12월11일 부산시와 맺은 합의서가 있지만, 주민 측의 협의 제안을 부산시가 무시하고 세부 이전계획을 수시로 미뤄 왔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합의서에 명기된 에코델타시티로의 이주는 현재 불가능해졌고, 명지국제신도시로의 이주는 다음 달 초까지 부산시와 주민들 간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LH공사와의 협의 불가능으로 무산될 위기에 처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에코델타시티에 이어 명지국제신도시로의 이주할 수 없을 경우 집단이주를 위한 마땅한 장소가 없어져, 생곡마을 이주문제는 장기간 지지부진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대책위는 “원인 모를 피부병에 시달리고, 일 년 내내 감기를 달고 살고 있다”며 “낮에는 아무리 더워도 창문을 열지 못하고 밤에는 이런 현상이 낮보다 더 심해 밤잠을 이루기 힘들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특히 대책위는 “이주대책 협의가 계속해서 지연돼 집단이주가 불가능해질 경우, 부산시에 법적 책임을 묻고 관련 공무원들을 직무유기죄로 고소하겠다며 신속한 합의 이행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진정서를 제출하기 위해 모인 생곡·가달마을주민 50여 명은 시장실을 항의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사전 약속이 없었던 관계로 무산됐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