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CJ대한통운, 러시아 물류업체와 전략적 제휴 통해 '북방물류' 본격 진출

박근태(왼쪽 두번째) CJ대한통운 사장, 알렉산더 이술린스(오른쪽 두번째) 페스코 대표, 송영길(왼쪽)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막심 볼코프 주한러시아부대사가 16일 서울 CJ인재원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CJ대한통운박근태(왼쪽 두번째) CJ대한통운 사장, 알렉산더 이술린스(오른쪽 두번째) 페스코 대표, 송영길(왼쪽)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막심 볼코프 주한러시아부대사가 16일 서울 CJ인재원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CJ대한통운


CJ대한통운(000120)이 러시아 물류기업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등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북방물류’에 본격 진출한다.

CJ대한통운은 지난 16일 CJ인재원에서 러시아의 물류업체 페스코와 전략적 협업 및 공동 사업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18일 밝혔다. 페스코는 1880년 세워진 물류기업으로 철도·항만·해운 등 다양한 물류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블라디보스토크 항만의 최대주주이면서 러시아의 10대 화물기차 운용사이기도 하다. 협약식에는 박근태 CJ대한통운 사장과 알렉산더 이술린스 페스코 대표, 송영길 북방경제협력위원장, 막심 볼코프 주한러시아대사관 부대사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유라시아 전 지역에 걸쳐 다양한 물류 사업을 공동 진행한다.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의 대형 플랜트 시공 등을 비롯해 프로젝트 물류 분야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 수주하는 등 전략적 파트너 관계를 맺는다.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지역은 최근 대형 플랜트 건설이 활발하다. 이번 협약에서 우즈베키스탄 천연가스합성석유 플랜트(UGTL) 프로젝트와 관련된 내용은 돈-볼가강 운하 이용 협력 등 구체적인 내용까지 포함시켰다.

관련기사



북방경제협력위원회의 지원 아래 페스코와 자루비노항 및 터미널 운영 관련 시설의 개발 및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도 시작한다. 러시아·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 등으로 운송되는 물량에 대응할 콘테이너에 공동 투자하면서 블라디보스토크·자루비노 항구에서 운송되는 화물에 쓰일 철도 및 차량에 대해 투자가 가능한지도 협의하기로 했다. CJ그룹의 러시아 소재 공장 생산품 운송, 상품 시장 확장 방안에 대한 공동사업도 협약에 들어갔다.

CJ대한통운은 이번 협약이 북방물류의 본격화를 알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방경제협력위원회가 양사의 TSR 공동 영업 등 북방물류 진출에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이다.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라 해운-철도-육로를 잇는 유라시아 복합운송상품에서 나아가 TKR(한반도종단철도)-TSR 연계 운송상품 개발 등을 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박근태 사장은 “CJ대한통운은 러시아를 통한 유라시아 물류시장 공략에 이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다양한 물류 루트 개발을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물류상품을 제공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