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가뭄대비 팔 걷은 경기도

노후 저수지·양수장 보강공사

하수처리수 농업용수로 재활용




경기도가 가뭄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항구적 가뭄대책을 추진한다.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오래된 저수지나 양수장에 대한 보수·보강 공사를 실시하고, 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 수를 재활용해 농업용수로 공급하는 사업도 진행한다.


경기도는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가뭄대비 종합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도는 올해 32억1,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용인 신기, 안성 회암 등 재해위험저수지 5곳을 대상으로 정비사업을 벌인다. 또 이천·안성 등지의 누수가 심한 흙 수로를 관로 형태의 구조물로 바꿔 물 손실률을 줄일 방침이다. 도는 이 사업을 통해 용수 손실률이 17.5%에서 6%로 감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5억6,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영농기가 끝난 후 파주 공릉저수지 등 5개소를 대상으로 퇴적토 준설사업도 추진한다. 이밖에 농어촌공사가 추진하는 평택호~안성 금광·마둔 저수지 수로연결 공사가 올 상반기 착공될 예정이어서 이 일대 농경지 2,435.6ha가 가뭄위협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도는 새로운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올해 화성 상진지구 등 3개 지구에서 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 수를 재활용해 농업용수로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안성시 등 3개소에 친환경 다목적 둠벙 조성, 천수답 등 용수원 확보가 어려운 34개 지구에 관정 36공을 개발하는 사업 등도 시행할 계획이다. 도는 이 사업에 22억8,900만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도는 생활·공업용수 확보를 위해 도서, 산간 등 급수취약지역에 대한 지방상수도 공급시설도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140억원을 들여 양평·포천·가평 등 도내 8개 지역을 대상으로 관로 67.1km와 가압장 12개소를 설치, 이들 지역에 상수도를 보급할 예정이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