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싱크홀 탐사 본격 실시…탐사장비 제작완료

도시철도 1, 2호선 일부 구간 직접 탐사 시행

3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 구간은 민간 탐사 실시

부산시는 20일 도로지반 탐사장비에 대한 제작을 완료하고 본격적으로 공동(싱크홀) 탐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7억500만 원을 들여 이번에 제작된 탐사장비는 차량 하부에 지하 투과 레이더(GPR)를 장착해 도로하부 지반을 탐사하는 장비와 지반탐사를 통해 확인된 공동 의심지역에 구멍을 뚫어 공동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내시경(영상촬영) 장비를 포함한 시추공 장비로 구분된다.


탐사장비는 지난해에 부산시가 채용한 탐사·분석 전문가 2명이 직접 운영하며, 지반탐사로 취득한 데이터를 분석한 후 공동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자리에 구멍을 뚫어 내시경 장비로 공동을 확인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공동의 위치파악을 위해 일반적으로 탐사차량에 GPS, 거리측정기, 위치영상 카메라를 장착해 활용하고 있으나, 이 장비에는 첨단 관성 측정장치를 추가 장착해 정확한 공동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또 땅 속의 공동을 확인하는 내시경에 3차원 레이저 측정 장치를 부착해 공동 깊이만 확인하던 기존 방식에서 공동 크기도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게 제작했다.

관련기사



지난해 시범탐사 결과, 부산시역 내 주요도로 공동의 주요 발생 원인은 도시철도 공사구간 다짐불량과 노후하수관로 파손에 따른 주변 토사 유실로 예측됨에 따라, 부산시는 지하철 및 노후하수관로 구간을 도로함몰 중점 관리구간으로 선정하고, 그 구간을 3년 내 탐사완료를 목표로 직접탐사와 민간탐사를 병행 시행할 계획이다. 올해는 도시철도 1, 2호선 일부구간 163km를 부산시가 직접 탐사하고, 30년 이상 노후하수관구간 230km를 민간 탐사할 예정이다. 민간탐사는 용역비 4억 원으로 발주해 시행한다.

이렇게 도로하부 공동 존재 유무를 파악한 뒤 함몰위험이 있는 공동은 긴급복구하고 함몰 가능성이 낮은 공동은 지반침하 연구 등을 위해 일정 기간 관찰한 후 복구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직접탐사와 민간탐사를 함께 하면서 중점관리구간 탐사를 3년 내 완료한다면 부산지역내 도로함몰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반탐사 수행에 만전을 기해 도로함몰로부터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부산시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