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민 2명 중 1명 "北은 협력·지원 대상"…2년여 만에 최고

민주평통 1분기 여론조사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 연합뉴스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 연합뉴스



최근 남북 화해 분위기에 힘입어 북한을 협력 내지는 지원 대상으로 보는 국민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통령 자문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지난 15∼18일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000 명을 대상으로 1분기 전화 여론조사를 했다. ‘북한에 대한 인식’에서 ‘협력 내지 지원 대상’(50.1%)이라는 답변이 ‘경계 내지 적대 대상’(32.6%)이라는 답변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협력 내지 지원 대상’이라는 답변은 전분기(39.9%)보다 10.2%포인트 증가했다. 2015년 4분기(52%) 이후 가장 높다.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대북 여론이 나빠져 ‘협력 내지 지원 대상’이라는 응답은 대체로 40%를 밑돌았다. ‘협력 내지 지원 대상’이라는 응답이 ‘경계 내지 적대 대상’이라는 응답을 앞선 것도 2016년 2분기(협력 대상 43.9%·경계 대상 43.7%) 이후 처음이다.


향후 남북관계에 대해서도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62.2%(매우 12.7%+다소 49.5%)로 전분기보다 23.2%포인트 상승했다. 민주평통은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남북대화 재개 등 남북관계가 복원되면서 긍정적 전망이 대폭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북한 체제의 개혁·개방 가능성에 대해서도 ‘높다’(55.2%)는 의견이 ‘낮다’(38.4%)는 응답보다 훨씬 많았다.

관련기사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별사절단의 가장 큰 성과로는 북한의 비핵화 및 북미대화 의사 표명(38.1%)을 꼽았다. 대화 기간 핵·미사일 실험중단 및 대남 핵·재래식 무기 불사용 확약(20.1%)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4월 말 열릴 예정인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 대해선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할 것’이라는 답변이 70.1%(매우 22.2%+어느 정도 47.9%)에 이르러 높은 기대감을 반영했다.

한편 통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나라로는 미국(53.4%), 중국(34.2%) 일본(2.9%) 순으로 대답했다. 민주평통은 “지난 3년간 조사에서는 미국보다 중국을 꼽는 의견이 많았는데 미국과 중국 간에 역전현상이 나타나 주목할만하다”고 밝혔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신뢰 수준 95%에 표본오차는 ±3.1%P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