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軍 운전병, 운수업계 취업 길 열린다

정부 '청년장병 취·창업 대책' 발표

고졸병사 대상 부사관 모집도 확대

송영무(오른쪽) 국방부 장관이 2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만나 국방 관련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송영무(오른쪽) 국방부 장관이 2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만나 국방 관련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군에서 운전병으로 복무한 뒤 전역한 병사의 경우 운수 업계에 종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또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입대한 병사를 대상으로 부사관 모집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20일 국방부와 중소벤처기업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금융위원회·병무청·일자리위원회 등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의 ‘청년장병 취·창업 활성화 대책’을 수립해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운전병 전역자가 운수업 종사자로 취업할 수 있도록 맞춤형 채용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복무 중인 운전병에게 대형운전면허·운전적성정밀검사 등 운전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을 지원하고 관련 기관 간 양해각서(MOU) 체결 및 협의체를 구성해 전역 후 운수 업계에 취업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올해 100명 이상을 지원할 계획이며 관련 예산 4억7,000만원을 편성했다.

관련기사



고교 졸업 후 입대한 병사를 대상으로 하는 부사관 모집 선발도 확대된다. 현재 육군에서 2,000여명을 선발 중이나 이를 전군 차원에서 4,00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군수·행정·교육 등 비전투부대 군인을 대체하기 위해 군무원과 민간인을, 현역병 복무단축에 따른 숙련된 인력확보 차원에서 부사관 인력을 각각 증원하기로 했다. 증원되는 규모는 총 2만6,000여명에 이른다.

이와 함께 병장과 상병에게는 구직활동을 위한 청원휴가를 2일 주기로 하고 관련법 시행령을 개정할 계획이다. 병사의 최대 1회 휴가기간(15일)도 구직을 위한 휴가일 경우에는 15일 이상 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군부대 사이버지식정보방에 설치된 컴퓨터 용량을 비롯한 환경을 개선하고 일과 후 병사 휴대폰 사용 허용으로 부대 내에서 학습하고 취업정보를 검색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일과 후 병사 휴대폰 사용과 관련해서는 올해 하반기까지 각 군에서 시범 운영한 후 확대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또 취업맞춤 특기병을 오는 2021년까지 연간 5,000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입대 전 1대1 진로상담 등을 통해 전공·경력에 기초해 군 보직을 연계하는 등 ‘맞춤형 병역·진로 설계’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지원대책이 부대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시행되도록 일자리위원회를 중심으로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청년장병 취업지원 협의체’를 구성해 추진과제를 이행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홍우·류호기자 rho@sedaily.com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