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구감소·노령화로 서울 대중교통 이용객 줄었다

작년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

탑승객 가장 많은 버스는 143번




인구 감소와 노령화에 따라 서울 대중교통 이용객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 특히 탈(脫)서울 영향으로 서울 대중교통 이용객이 줄어든데다 수도권과 서울을 오가는 대중교통 이용객도 감소했다.

21일 서울시가 교통카드 빅데이터 48억건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버스·지하철 등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객은 하루 평균 1,338만1,000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 2016년(1,349만1,000명)보다 0.8% 줄어든 수치다. 서울의 인구 감소에 따라 교통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는 1.7%, 지하철은 0.2% 각각 감소했다.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객은 2014년 1,383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뒤 3년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반적인 인구 감소와 함께 노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출퇴근 수요가 줄어든 것이 이러한 대중교통 이용객 감소 요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수도권과 서울을 오가는 대중교통 이용객도 줄었다. 지난해 경기도와 서울, 인천시와 서울을 왕복하는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객은 일평균 2,309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0.3% 줄었다. 수도권 지하철은 노선 확장으로 1.1% 늘어난 반면 버스는 1.8%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 이용량이 감소했다. 수도권 이용객도 2014년 2,359만3,000명을 기록한 뒤 해마다 줄어드는 추세다. 수도권으로 이사해서 일자리를 찾은 사람이 늘고 있는 셈이다.

지하철 이용 현황을 보면 2호선 강남역이 부동의 1위를 유지했다. 강남역의 승하차 인원은 각각 하루 평균 10만553명과 10만1,239명을 기록했다. 승차는 강남역 다음으로 잠실역(8만8,820명), 홍대입구역(7만8,411명), 신림역(7만367명) 등의 순이었다. 하차도 홍대입구역·잠실역·신림역 순이었으며 이들 모두 2호선 라인이었다.

시내버스 노선은 서울 중심을 관통해 정릉에서 개포동으로 가는 143번이 하루 4만3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화계사에서 삼막사사거리까지 운행하는 152번, 면목동에서 남가좌동을 오가는 272번이 많았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